지지위지지知之爲知之 - 아는 것을 안다고 하다.
지지위지지(知之爲知之) - 아는 것을 안다고 하다.
알 지(矢/3), 갈 지(丿/3), 하 위(爪/8), 알 지(矢/3), 갈 지(丿/3)
처마 끝의 제비가 지저귀는 소리를 가만히 들어보던 선비가 論語(논어)에 나오는 글과 같이 운다고 글 읽기를 좋아하는 새로 일컬었다는 우스개가 있다. 연속되는 음이 많은 知之爲知之(지지위지지)에 또 비슷하게 不知爲不知(부지위부지)가 이어지니 그럴 만도 하다. 뜻도 좋다. 아는 것은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라. 알면서도 모르는 척하는 것도 문제지만 모르면서 아는 척하면 보아주기 어렵다. 문맹이 많았던 시기에 제비가 孔子(공자)를 읽으니 더욱 귀여움 받는 새가 된 셈이다.
덕으로 정치를 한다는 뜻의 爲政以德(위정이덕)에서 나온 爲政(위정)편에 실려 있다. 공자가 여러 제자와 함께 문답으로 가르치고 있는 논어 두 번째 편이다. 가장 나이 많지만 젊은 시절 거리에서 주먹을 자랑하여 배움이 늦었던 仲由(중유)에게 가르침에 대해 말했다.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아는 것이다(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 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 중유는 자인 子路(자로)로 더 알려져 있고 직선적인 무골의 의리로 공자의 주유천하 때 끝까지 수행한 사람이다. 조금 아는 것이 뒤떨어지더라도 솔직하게 모르는 것을 인정하면 그것이 앞서는 것이라고 가르친다. 소크라테스가 남과 다른 것은 ‘자기가 모른다는 것을 아는 것’이라 한 것과 통한다.
老子(노자)도 ‘道德經(도덕경)’ 제71장 知病章(지병장)에서 비슷하게 깨우친다. ‘자기가 알지 못한다는 것을 아는 것이 가장 훌륭하다. 알지 못하면서 안다고 하는 것은 병이다(知不知上 不知知病/ 지부지상 부지지병), 병을 병으로 알기 때문에 병이 되지 않는다(夫唯病病 是以不病/ 부유병병 시이불병).’ 그러면서 성인에게 병이 없는 것은 병을 병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라 했다.
세상만사 돌아가는 이치를 모두 알 수는 없다. 분야가 많은 만큼 전문가도 곳곳에 있다. 서뿔리 아는 체를 했다가 곧잘 망신사기 십상이다. 모르는 것은 부끄럽지 않다. 손아랫사람이나 지위가 자기보다 못한 사람에게도 물어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는 孔子穿珠(공자천주), 不恥下問(불치하문), 역시 공자말씀이다./제공 : 안병화 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