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구지학一丘之貉 - 한 언덕에 사는 오소리, 구별하기 어려운 같은 종류
일구지학(一丘之貉) - 한 언덕에 사는 오소리, 구별하기 어려운 같은 종류
한 일(一/0) 언덕 구(一/4) 갈 지(丿/3) 담비 학, 오랑캐 맥(豸/6)
실력이 어금버금하여 우열을 가리기 힘들 때 難兄難弟(난형난제)나 大同小異(대동소이)란 말을 쓴다. 속담 ‘도토리 키 재기’가 나타내듯이 두 비교되는 사람이나 사물이 낫고 못함이 적은 경우를 나타낸다. 반면 ‘그 나물에 그 밥’이나 속된 표현으로 ‘그 놈이 그 놈’이라 하면 부정적 의미가 강하다. 대립하는 양자의 수준이 나쁜 쪽으로 비슷할 때 쓴다. 당사자와는 떨어져 있는 입장에서 볼 때 별 차이도 없는 것들이 싸운다는 냉소적인 뜻이 담겼다. 양비론의 예시이기도 한데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와 상통한다.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족제빗과의 포유동물 오소리는 생긴 것도 호감을 못줘 한 곳에 모여 살면 어느 놈이 어느 놈인지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할 수 없다. 한 언덕(一丘)에서 사는 오소리(之貉)라는 성어도 서로 다를 바 없는 똑 같은 부류나 한통속인 나쁜 무리를 비유한다. 오소리 貉(학)은 담비라는 뜻도 있고, 오랑캐를 말할 때는 ‘맥‘으로 읽는다. 班固(반고)의 역사서 ’漢書(한서)‘에 실려 전한다.
楊惲(양운, 惲은 도타울 운)전의 내용을 간추려보자. 漢(한)나라 양운은 집안도 떵떵거릴만하고 어려서부터 외조부인 司馬遷(사마천)의 史記(사기)를 공부했기 때문에 학식도 남달라 젊은 나이에 요직에 발탁됐다. 청렴결백했지만 일찍 명성을 누려 미움도 많이 샀다. 당시 宣帝(선제)가 총애하던 長樂(장락)이란 사람과 특히 사이가 나빴다.
한번은 장락이 고소를 당하자 이를 양운의 소행이라 생각하고 왕에게 글을 올렸다. 이전 양운이 흉노의 우두머리가 살해된 것은 자신이 무도했기 때문이라며 ’옛날이나 지금이나 아둔한 임금은 한 곳에 모여 있는 오소리와 같다(古與今如一丘之貉/ 고여금여일구지학)‘고 표현한 부분을 들어 지금 왕을 비방했다고 한 것이다. 선제는 이에 넘어가 화를 내며 양운을 삭탈관직하고 말았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