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강급미舐糠及米 - 겨를 핥다 쌀까지 먹는다.
지강급미(舐糠及米) - 겨를 핥다 쌀까지 먹는다.
핥을 지(舌/4) 겨 강(米/11) 미칠 급(又/2) 쌀 미(米/0)
처음에는 겨를 핥다가 나중에는 쌀까지 먹는다는 뜻으로, 욕심이 점점 커짐을 이르는 말이다. 어려운 글자로 된 성어지만 舐糠(지강)은 송아지를 핥는 어미 소의 사랑 舐犢之情(지독지정)이나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 糟糠之妻(조강지처)라 할 때 쓰는 그 글자다. ‘청을 빌려 방에 들어간다’란 우리 속담과 똑 같다. 대청을 빌려 쓴다는 구실로 시작해서 방에까지 들어간다는 뜻으로, 염치없이 처음에 한 약속을 어기고 야금야금 침범해 들어감을 비유적으로 이른다. 旬五志(순오지) 성어로 借廳入室(차청입실)이다.
‘史記(사기)’의 열전 중에 吳王(오왕) 濞(비, 濞는 물소리 비) 편에 나온다. 漢(한)을 세운 高祖(고조) 劉邦(유방)은 가문의 자제들에게 땅을 분할하여 제후국을 만들었는데 장조카 비에게는 오왕을 제수했다. 그러나 고조가 세상을 떠나자 중앙의 명령에 불복하는 제후들이 늘어났다. 景帝(경제) 때에 이르러 지혜 주머니 智囊(지낭)으로 불리던 鼂錯(조착, 鼂는 아침 조)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제후국의 영지를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왕의 지지를 받은 강직한 조착의 개혁이 먹혀 들어가자 여러 곳에서 반발이 일어났다. 특히 소금과 구리가 많이 생산되어 부강한 오왕 비는 나라를 빼앗길까 두려워하여 차라리 모반이 낫겠다고 생각하고 세력을 규합했다. 이웃 나라에 사신을 보내 설득했다. ‘지금 한왕은 간신들의 말만 믿고 하루하루 제후들의 영지를 뺏고 있습니다. 속담에 겨를 핥다 쌀까지 먹어 치운다(舐糠及米/ 지강급미)고 했으니 이대로 두면 땅만 뺏기는 것에 그치지는 않을 것입니다.’ 마침내 주변 세력을 결집하는데 성공하여 일으킨 것이 吳楚七國(오초칠국)의 난이다. 서기전 154년에 일어난 이 난은 그러나 周亞夫(주아부) 등에 의해 3개월 만에 평정되었고 왕권은 강화됐다.
쌀까지 먹히는 것을 막으려다 다 태운 꼴이다. 하지만 이 말의 교훈은 살아 사소한 잘못을 눈 감으면 나중 기필코 후회할 날이 오니 미리미리 잘 대비해야 한다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