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생어구禍生於口 - 재앙은 입에서 나오다.
화생어구(禍生於口) - 재앙은 입에서 나오다.
재앙 화(示-9) 날 생(生-0) 어조사 어(方-4) 입 구(口-0)
말은 한 사람의 입에서 나오지만 천 사람의 귀로 들어간다. 한 번 뱉은 말은 두 번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불교에서 말하는 十惡(십악) 중에서 허망한 말(妄語/ 망어), 꾸며대는 말(綺語/ 기어), 남에게 욕하는 말(惡口/ 악구), 이간질하는 말(兩舌/ 양설) 등 말에서 비롯된 것이 네 가지나 들어있어 말의 중요성, 위험성을 가르친다.
이 난에서도 몇 차례 소개했지만 馮道(풍도)의 舌詩(설시)에서 따와 유명한 "말은 재앙을 불러들이는 문(口禍之門/ 구화지문)"을 비롯한 경계의 말은 동서막론하고 숱하다. 모든 재앙이 일어나는(禍生) 곳은 입으로부터(於口)라고 한 말도 같다.
이 성어는 조선 후기 학자이자 문신 成大中(성대중, 1732~1809)의 문집에 실려 있다. 그의 잡록집 "靑城雜記(청성잡기)"의 質言(질언) 부분에 나온다고 한다. 말에 관한 명언 몇 부분을 옮겨보자. "내면의 수양이 부족한 사람은 그 말이 번잡하고, 마음에 주관이 없는 사람은 그 말이 거칠다(內不足者 其辭煩 心無主者 其辭荒/ 내부족자 기사번 심무주자 기사황)." 다시 좋은 말이 이어진다.
"화는 입에서 생기고, 근심은 눈에서 생기고, 병은 마음에서 생기고, 허물은 체면에서 생긴다(禍生於口 憂生於眼 病生於心 垢生於面/ 화생어구 우생어안 병생어심 구생어면)." 垢는 때 구. 이 구절은 글 쓰는 사람들이 즐겨 인용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明心寶鑑(명심보감)에 말의 중요성을 깨우치는 것이 빠질 수 없다. "사람을 이롭게 하는 말은 따뜻하기가 솜과 같고, 사람을 상하게 하는 말은 가시와 같다. 한마디라도 무겁기가 천금과 같고, 한마디 말이 상하게 할 때는 아프기가 칼로 베는 것 같다(利人之言 煖如綿絮 傷人之語 利如荊棘 一言半句 重値千金 一語傷人 痛如刀割/ 이인지언 난여면서 상인지어 이여형극, 일언반구 중치천금 일어상인 통여도할)." 絮는 솜 서, 荊은 가시 형, 棘은 가시 극.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x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