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정해우庖丁解牛 - 포정이 소의 뼈와 살을 발라내다.
포정해우(庖丁解牛) - 포정이 소의 뼈와 살을 발라내다.
부엌 포(广/5) 고무래 정(一/1) 풀 해(角/6) 소 우(牛/0)
\xa0
‘선무당이 장구 탓한다’는 속담이 있다. 자기 기술이나 능력이 부족한 것은 생각하지 않고 애매한 도구나 조건만 가지고 나쁘다고 탓함을 비꼬는 말이다. 기술이 뛰어난 명인은 손이 안 보인다. 달인은 도구를 탓하지 않는다. 고수는 일을 처리하며 리듬을 탄다. 이 사람들은 얼마나 많은 반복 훈련을 거쳤을 것인가.
\xa0
戰國時代(전국시대) 梁(양)나라에 庖丁(포정)이라는 소잡이 명인이 있었다. 소를 잡아 뼈와 살을 해체하는 솜씨가 신기에 가까웠다. 어느 날 포정이 文惠君(문혜군)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었는데 소에 손을 대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짓누르고, 무릎을 구부려 칼을 움직이는 동작이 모두 음률에 맞았다.
\xa0
그것을 본 문혜군이 감탄하여 어떻게 이런 경지에 이르렀는지 물었다. 포정은 ‘제가 처음 소를 잡았을 때는 소의 겉모습만 보였고, 3년이 지나니 소의 모습은 사라지고 부위별로 보였습니다. 그리고 19년이 지난 지금은 눈으로 소를 보지 않고 마음의 눈으로 봅니다.
\xa0
소의 살과 뼈, 근육 사이의 틈새를 보고 그 사이로 칼을 지나가게 하는데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한 번도 실수로 살이나 뼈를 다치게 한 적이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 ‘莊子(장자)’의 養生主(양생주)편 첫머리에 나온다. 같은 뜻의 目無全牛(목무전우)도 여기서 나왔다.
\xa0
사회 여러 분야에서 공부를 하고 기술을 익히고 도를 닦아 포정이 된 사람이 많이 있다. 이들이 19년의 포정과 같이 많은 노력을 기울였는지는 생각지 않고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쉽게 따라갈 수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입문만 하고선 달인이 된 듯이 자만하다가 사고를 친다. 전문인을 홀대하는 사회는 발전이 늦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