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자다.   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자다.   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22일 금요일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자다.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자다.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자다.\xa0 \xa0

동녘 동(木/4) 집 가(宀/7) 밥 식(食/0) 서녘 서(襾/0) 집 가(宀/7) 잘 숙(宀/8)

\xa0

동쪽 집에서 밥을 먹고(東家食) 잠을 잘 때에는 서쪽 집(西家宿)으로 간다는 쉬운 글자의 성어는 어엿한 고사가 있고 제법 여러 가지 뜻을 지닌다.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며 지내는 것을 이르기도 하고, 먹을 것과 잘 곳이 없이 의식주가 막막한 생활을 가리키기도 한다.

\xa0

이곳저곳을 다니니 두 가지 좋은 일을 가지려 욕심내거나, 자기의 잇속을 차리기 위해 지조 없이 이리저리 빌붙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줄여서 東食西宿(동식서숙)이라고도 하고, 아침에는 북쪽의 秦(진)나라에, 저녁에는 남쪽의 楚(초)나라에 간다고 하여 朝秦暮楚(조진모초)라는 말도 쓴다.

\xa0

중국 宋(송)나라의 李昉(이방, 昉은 밝을 방)이 편찬한 太平御覽(태평어람)이란 책에 인용되어 전한다. 1690종의 책을 인용하여 편찬한 55개 부문의 방대한 백과사서인데 太平總類(태평총류)였던 책이 임금이 모두 읽어 이런 이름을 얻었다는 그 책이다. 내용을 보자.

\xa0

옛날 齊(제)나라에 혼기가 꽉 찬 아름다운 처녀가 있었다. 마침 두 곳에서 청혼이 들어왔는데 동쪽 집의 총각은 못 생겼으나 부자였고, 서쪽 집 아들은 인물이 훤했지만 집안이 매우 가난했다. 어느 한 쪽을 선택하기가 난감해진 부모가 딸의 의견을 들어보기로 했다. 서쪽 집으로 시집가고 싶으면 왼쪽 소매를 걷고, 동쪽 집의 총각과 혼인하고 싶으면 오른쪽 소매를 걷으라고 했다.

\xa0

처녀는 망설이지도 않고 양쪽 소매를 다 걷자 부모가 까닭을 물었다. 그러자 ‘밥은 동쪽 집에서 먹고 잠은 서쪽 집에서 자고 싶어요(願東家食而西家宿/ 원동가식이서가숙)’라고 대답했다. 처녀 입장에선 고민할 필요도 없었다.

우리나라에선 더 재미있는 고사가 있다. 조선시대의 인물들에 얽힌 일화를 모아 姜斅錫(강효석, 斅는 가르칠 효)이 엮은 ‘大東奇聞(대동기문)’의 내용이다. 太祖(태조) 李成桂(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한 뒤 공신들을 위로하기 위해 연회를 베풀었다.

\xa0

명기 雪中梅(설중매)도 참석하여 주흥을 돋웠는데 술 취한 어느 정승이 수작을 걸었다. 기생은 동쪽 집과 서쪽 집을 오간다 하니 오늘은 자신에게 수청 들라고 했다. 설중매는 동가식서가숙하는 기생과, 왕씨를 모시다 이씨를 모시는 정승 어른과는 궁합이 잘 맞겠다고 쏘아붙였다. 이 말을 들은 공신들마저 어쩔 줄 몰랐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