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목지절야필통두木之折也必通蠹 - 나무가 부러지는 것은 좀 벌레가 갉아먹었기 때문이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목지절야필통두木之折也必通蠹 - 나무가 부러지는 것은 좀 벌레가 갉아먹었기 때문이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26일 화요일

목지절야필통두木之折也必通蠹 - 나무가 부러지는 것은 좀 벌레가 갉아먹었기 때문이다.

목지절야필통두木之折也必通蠹 - 나무가 부러지는 것은 좀 벌레가 갉아먹었기 때문이다.

목지절야필통두(木之折也必通蠹) - 나무가 부러지는 것은 좀 벌레가 갉아먹었기 때문이다.

나무 목(木/0) 갈 지(丿/3) 꺾을 절(扌/4) 이끼 야(乙/2) 반드시 필(心/1) 통할 통(辶/7) 좀 두(虫/18)

\xa0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는 千里之行 始於足下(천리지행 시어족하)라 하여 무슨 일이나 시작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마무리는 더욱 중요하다. 구백구십 아홉 걸음을 갔더라도 한 걸음이 모자라 일을 완성하지 못하면 앞의 노력은 헛수고다.

\xa0

‘다 된 밥에 재 뿌리기’란 말과 같이 조그만 부주의로 도로아미타불이 되는 적절한 비유의 성어도 많다. 마지막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산을 쌓다가 와르르 무너지는 功虧一簣(공휴일궤, 虧는 이지러질 휴, 簣는 삼태기 궤)가 그렇고, 커다란 둑이 개미구멍에 의해 무너지는 堤潰蟻穴(제궤의혈)이 그렇다.

\xa0

완성하기 전의 마지막 정성이 중요한 것과 같이 이루고 난 뒤에도 조그만 원인에 와해될 수 있으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단단한 나무가 부러지는 것은(木之折也) 반드시 좀 벌레가 속을 파먹었기 때문(必通蠹)이란 쉬운 비유가 ‘韓非子(한비자)’의 亡徵(망징)편에 나온다.

\xa0

중국 法家(법가)의 대표 韓非(한비)는 공을 들여 건국한 나라가 사소한 잘못을 방치하다 망하는 징조를 마흔일곱 가지나 예로 든다. 군주와 신하, 경제나 군사, 외교, 사회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놓치기 쉬운 일을 들면서 사소한 조짐을 잘 관찰하고 법에 의해 그것을 막아야 무너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했다.

\xa0

성어가 나오는 부분을 보자. ‘나무가 부러지는 것은 반드시 좀 벌레가 파먹었기 때문이고(木之折也必通蠹/ 목지절야필통두), 담장이 무너지는 것은 반드시 틈이 생겼기 때문이다(牆之壞也必通隙/ 장지괴야필통극).’ 그러면서 나무에 벌레가 먹거나 담장에 벌레가 생겼다 하더라도 강풍이나 폭우가 내리지 않으면 유지할 수 있지만 그것을 간파한 나라가 쳐들어오면 무너지고 만다는 것이다.

\xa0

사전에 잘 대비하고 잘못된 점은 고쳐야 튼튼해진다는 이야기다. 前漢(전한)의 劉安(유안)이 저술한 ‘淮南子(회남자)’에도 비슷한 구절이 나온다. ‘담이 무너지는 것은 조그만 틈새에서 비롯되고, 칼이 부러지는 것은 반드시 빠진 날에서이다(牆之壞也於隙 劍之折必有齧/ 장지괴야어극 검지절필유설).’ 齧은 깨물 설. 人間訓(인간훈)에 있다.

\xa0

한비는 또한 五蠹(오두)편에서 나무나 곡식을 갉아먹는 다섯 가지 좀 벌레는 五賊(오적)과 같이 나라를 갉아먹어 황폐하게 하는 사람들을 지칭했다. 힘에 의하거나 권력 등을 동원하여 서민들의 고혈을 빠는 사람들이다. 우리에게는 이런 좀 벌레들이 없을까.

\xa0

수시로 드러나는 이런 범죄인들 말고도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세금을, 모자라면 빚으로 흥청망청 쓰는 공직자들은 더하다. 선인들이 힘겹게 쌓아올려 세계 10위권 경제국으로 살게 된 나라다. 小隙沈舟(소극침주)라 했다. 커다란 배가 작은 틈으로 스며드는 물에 의해 가라앉는 일은 없어야 되겠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