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시대, 비뇨기과로 환자가 몰리는 이유는?
◇ 코로나 시대, 비뇨기과로 환자가 몰리는 이유는?
서울 마포구에 사는 이모씨는 이달 초 평생 처음으로 비뇨기과에 갔다. 발기부전을 치료하기 위해서다. 2년 전부터 문제가 있었지만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 그런데 코로나 사태가 터지면서 생각이 달라졌다. 이씨는 “코로나로 장사가 안되는 상황인데, 성관계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우울감이 밀려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코로나가 자영업자나 기업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지만, 오히려 환자가 늘어난 업종도 있다. 그중 하나가 ‘비뇨기과’다. 비뇨기과 업계 관계자는 “성 기능을 회복시켜 달라며 문을 두드리거나 발기부전 치료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한 제약업체가 판매하는 비아그라 복제약 A의 경우 올해 들어 매출액(1~8월)이 작년 동기보다 10%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송파구에 있는 박경식남성비뇨기과는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이 20~30% 증가했다. 한 달 평균 2~3건이던 발기부전 관련 수술도 1주일에 2~3건으로 늘었다고 한다. 한 비뇨기과 전문의는 “모든 비뇨기과에서 손 증가했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코로나 상황에서 비뇨기과나 발기부전 치료제 판매는 비교적 선전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왜 그럴까. 경제적으로 어려운데 남성으로서 성적 능력마저 잃는 것에 대한 상실감이나 두려움을 갖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비뇨기과 전문의 박경식 원장은 “모든 게 힘든 시기에 그나마 내가 아직 살아 있고,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원초적 수단 중 하나가 성관계다. 그렇다 보니 비뇨기과나 약물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최대한 시도해보려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안산시 ‘김비뇨기과’ 김남국 원장은 “코로나로 인해 사회 분위기가 침체해 있다 보니 가까운 곳에서 돌파구를 찾겠다는 심리의 반영”이라고 했다.
이렇다 보니, 비뇨기과의 진료 종목도 다소 변했다. 코로나 이전만 해도 조루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는 남성들이 많았지만, 코로나 이후에는 발기부전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박경식 원장은 “예전에는 7대3의 비율로 조루 환자가 많았는데, 코로나 사태 후엔 발기가 3대7로 역전됐다”고 했다. 또한 성관계 횟수가 다소 늘다 보니 요로 결석 같은 질병에 대한 치료가 줄고 대신 각종 성병을 고쳐달라는 환자가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이런 현상은 1997년 IMF 외환 위기 때도 일부 나타났다. 한 비뇨기관 전문의는 "IMF 시절에는 발기부전을 치료해 달라는 환자들이 몰려 한 달에 약 1억5000만원을 벌었다. 내 직업의 전성시대였다"고 말했다.
- 조선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