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 코로나 시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 코로나 시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10일 일요일

◇ 코로나 시대, "시댁과 비대면...부부싸움 줄었어요”

◇ 코로나 시대, "시댁과 비대면...부부싸움 줄었어요”

◇ 코로나 시대, "시댁과 비대면...부부싸움 줄었어요”

“퇴근하는 시간에 맞춰 남편이 승용차로 데리러 와요. 코로나 걸리면 어쩌느냐면서. 얼핏 들으면 애처가 같죠? 더 들어보라니까요. 행여 제가 걸렸다간 자기 회사 동료까지 민폐 줄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대요. 내 걱정인지 자기 걱정인지.” 자랑인가 핀잔인가. 맞벌이 직장인 A(여·51)씨가 웃으며 말했다. 코로나 시대의 부부 사랑 아닐까.

"

‘아무튼, 주말’이 SM C&C 설문조사 플랫폼 ‘틸리언 프로’(Tillion Pro)에 의뢰해 20~60대 남녀 5111명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코로나 이후 1년간 ‘가족 갈등이 줄었다’가 30.46%로 ‘늘었다(17.02%)보다 두 배가량 많았다. 불가항력의 바이러스 외침(外侵) 속, 툭 하면 짜증 내뱉던 가족이 표면적으론 휴전에 들어간 모양새다. 세대가 낮을수록 마찰이 적어졌다는 비율이 높았다. 20대에선 ‘갈등이 줄었다’가 45.50%. ‘늘었다(12.20%)보다 4배 가까이 많았다.

",

갈등이 줄어든 이유를 주관식으로 물은 결과, 가장 많이 나온 답은 ‘가족과의 거리 두기 덕분’이었다. 취업·결혼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20~30대에서 두드러졌다. 부모님과 떨어져 서울에 사는 20대 응답자(여·28)는 “부모님과 만나면 취업 걱정을 많이 하셔서 스트레스가 쌓이는데 코로나 감염을 이유로 자주 안 보게 되니 오히려 관계가 좋아졌다”고 했다.

주부에겐 ‘비대면 시댁’이 호재였다. 경기도에 사는 50대 주부(57)는 “코로나를 핑계로 시댁에 안 갈 수 있어 좋다. 주 갈등 원인이 없어지니 남편과 싸울 일도 줄었다”고 했다. “저녁 약속이 줄어 부부 싸움을 덜 한다”(남·51) “소비가 줄어 잔소리를 안 들어도 된다”(남·62)는 남편도 적잖았다. “모두 힘든 상황이라 웬만하면 이해하고 넘어가려 한다” “집밥 먹으면서 대화가 늘어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는 답도 많았다.

"

사이가 좋은 것만은 아니다. 재택근무가 잦아지면서 살림 분담·육아 참여도에 따라 관계가 좋아지기도 나빠지기도 한다. “‘집콕 때문에 하는 수 없이 집안일을 많이 하게 돼 마찰이 줄었다”(남·69)는 답이 있는가 하면, “재택근무 하는 남편이 육아를 안 도와줘 말싸움이 늘었다”(여·35)는 답도 있다.

",

세대별로는 40대와 50대에서 ‘갈등이 늘었다’는 답이 각각 20.20%, 19.00%로 1, 2위를 차지했다. 사춘기 자녀를 둔 연령층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한 주부 응답자(45)는 “집에 있는 것만도 갑갑한데 반항하는 사춘기 아이와 있으려니 스트레스가 두 배”라고 했다. ‘TV 채널 싸움’ ‘안 치워서’ ‘잘 안 씻어서’ 등도 사소한 갈등 원인으로 꼽혔다.

-아무튼 주말-

2024년 3월 8일 금요일

◇ 코로나 시대, 비뇨기과로 환자가 몰리는 이유는?

◇ 코로나 시대, 비뇨기과로 환자가 몰리는 이유는?

◇ 코로나 시대, 비뇨기과로 환자가 몰리는 이유는?

서울 마포구에 사는 이모씨는 이달 초 평생 처음으로 비뇨기과에 갔다. 발기부전을 치료하기 위해서다. 2년 전부터 문제가 있었지만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 그런데 코로나 사태가 터지면서 생각이 달라졌다. 이씨는 “코로나로 장사가 안되는 상황인데, 성관계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우울감이 밀려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코로나가 자영업자나 기업을 벼랑 끝으로 내몰고 있지만, 오히려 환자가 늘어난 업종도 있다. 그중 하나가 ‘비뇨기과’다. 비뇨기과 업계 관계자는 “성 기능을 회복시켜 달라며 문을 두드리거나 발기부전 치료제를 복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한 제약업체가 판매하는 비아그라 복제약 A의 경우 올해 들어 매출액(1~8월)이 작년 동기보다 10%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송파구에 있는 박경식남성비뇨기과는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면 이 20~30% 증가했다. 한 달 평균 2~3건이던 발기부전 관련 수술도 1주일에 2~3건으로 늘었다고 한다. 한 비뇨기과 전문의는 “모든 비뇨기과에서 손 증가했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코로나 상황에서 비뇨기과나 발기부전 치료제 판매는 비교적 선전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왜 그럴까. 경제적으로 어려운데 남성으로서 성적 능력마저 잃는 것에 대한 상실감이나 두려움을 갖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비뇨기과 전문의 박경식 원장은 “모든 게 힘든 시기에 그나마 내가 아직 살아 있고,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원초적 수단 중 하나가 성관계다. 그렇다 보니 비뇨기과나 약물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최대한 시도해보려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안산시 ‘김비뇨기과’ 김남국 원장은 “코로나로 인해 사회 분위기가 침체해 있다 보니 가까운 곳에서 돌파구를 찾겠다는 심리의 반영”이라고 했다.

이렇다 보니, 비뇨기과의 진료 종목도 다소 변했다. 코로나 이전만 해도 조루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는 남성들이 많았지만, 코로나 이후에는 발기부전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박경식 원장은 “예전에는 7대3의 비율로 조루 환자가 많았는데, 코로나 사태 후엔 발기가 3대7로 역전됐다”고 했다. 또한 성관계 횟수가 다소 늘다 보니 요로 결석 같은 질병에 대한 치료가 줄고 대신 각종 성병을 고쳐달라는 환자가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이런 현상은 1997년 IMF 외환 위기 때도 일부 나타났다. 한 비뇨기관 전문의는 "IMF 시절에는 발기부전을 치료해 달라는 환자들이 몰려 한 달에 약 1억5000만원을 벌었다. 내 직업의 전성시대였다"고 말했다.

- 조선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