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상대의 판단을 흐리게 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상대의 판단을 흐리게 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4월 5일 금요일

현시혹청眩視惑聽 - 보는 것을 흐릿하게 듣는 것을 헷갈리게 하다, 상대의 판단을 흐리게 하

현시혹청眩視惑聽 - 보는 것을 흐릿하게 듣는 것을 헷갈리게 하다, 상대의 판단을 흐리게 하다.

현시혹청(眩視惑聽) - 보는 것을 흐릿하게 듣는 것을 헷갈리게 하다, 상대의 판단을 흐리게 하다.

어지러울 현(目/5) 볼 시(見/5) 미혹할 혹(心/8) 들을 청(耳/16)

\xa0

‘가랑잎으로 눈 가리고 아웅한다’는 속담이 있다. 자기 눈을 가려 어린애를 속인다고 해도 천진한 애가 넘어갈 리가 없다. 掩耳偸鈴(엄이투령) 성어와 같은 ‘귀 막고 방울 도둑질하기’란 것도 있다. 제 귀만 막으면 다른 사람도 듣지 못하는 줄 안다.

\xa0

순진하거나 어리석은 행동을 비웃는 뜻으로 쓴다. 하지만 어린애에게도 통하지 않는 이런 일이 이전부터 알게 모르게 힘을 쓰는 세계에서 자주 일어나 어지럽게 한 일이 많았다. 보는 것을 흐릿하게 만들고(眩視) 듣는 것을 헷갈리게 한다(惑聽)는 말은 상대의 판단을 헷갈리게 하여 자신의 욕구를 채우는 것을 뜻했다.

\xa0

이렇게 네 글자로 풀어 쓴 성어는 중국 淸(청)나라의 혁명 운동가이자 국학자로 이름난 章炳麟(장병린, 1869~1936)의 ‘正名雜義(정명잡의)’란 글에서 처음 사용됐다고 나오니 의외로 역사가 짧다. 하지만 어지럽거나 아찔하다는 뜻의 眩(현)은 오래된 유교 경전 中庸(중용)에 ‘대신을 공경하면 현혹되지 않는다(敬大臣則不眩/ 경대신즉불현)’라는 구절부터 사용돼 아득하다.

\xa0

두 글자로 줄인 眩惑(현혹)은 정신을 빼앗겨 해야 할 일을 잊어버리거나 그렇게 되게 하는 행위로 대표하는 용어가 됐다. 우리나라의 고전 시문집이나 實錄(실록)에도 수두룩하게 검색되는데 몇 가지만 보자.

\xa0

世宗(세종)때 요승 信眉(신미)는 스스로 生佛(생불)이라며 ‘겉으로는 선을 닦는 방법을 하는 체 하고, 속으로 붙여 사는 꾀를 품어서(陽爲修善之方 陰懷寄生之謀/ 양위수선지방 음회기생지모), 인심을 현혹(其眩惑人心/ 기현혹인심)’시켰다고 나온다.

\xa0

中宗(중종) 때의 문신 李彦迪(이언적, 迪은 나아갈 적)은 조정에 봉황과 꿩조차도 구별 못하는 사람들이 득시글거려 ‘군주 마음 이로 인해 현혹된다(君心以之而眩惑/ 군심이지이현혹)’고 한탄했다. 임금의 눈과 귀를 가려 바른 길을 가지 못하게 하고 제 욕심만 채운 간신배들은 시대마다 있었고, 몰랐거나 막지 못한 어리석음도 昏君(혼군)이라 욕을 먹었다.

\xa0

오래전부터 이름을 떨친 중국 간신은 趙高(조고)나 梁冀(양기), 李林甫(이임보), 秦檜(진회) 등 수두룩하다. 우리나라도 왕이나 권력자의 눈과 귀를 가려 나라를 어지럽힌 사람이 적지 않다. 고려 말의 辛旽(신돈, 旽은 밝을 돈)이나 조선 초기 柳子光(유자광), 韓明澮(한명회, 澮는 봇도랑 회) 등은 왕의 신임을 업고 권세를 휘둘렀다.

\xa0

‘人(인)의 장막’을 둘러 눈귀를 가리고 권력을 독점하는 것은 21세기의 민주국가에서도 이어져 최순실이 비선으로 농단할 때는 박근혜 정권이 무너지기도 했다. 문고리 권력이 배타적으로 암약하는 것은 어느 때라도 없을까.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x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