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장영실 3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장영실 3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4월 1일 월요일

조선의 에디슨, 장영실 3편

■ 조선의 에디슨, 장영실 3편

■ 조선의 에디슨, 장영실 3편

세종은 자동 물시계를 만들어 궁궐에 설치하고 싶었다. 장영실은 자신의 재주를 높이 사 면천(免賤)에다가 관직까지 내려준 세종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그 꿈을 이루고자 했다. 장영실은 당시 세종과 정인지, 정초 등이 조사하고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문헌에 전하는 소송의 물시계와 이슬람의 물시계를 비교하면서 ‘자격루(自擊漏)’라고 하는 새로운 자동 물시계를 만들어냈다. 자격루는 물을 넣은 항아리의 한쪽에 구멍을 뚫어 물이 일정하게 흘러나오게 만든 것으로, 규칙적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의 양을 이용해 각각 시(時)·경(更)·점(點)에 따라 종·북·징이 울리거나 시패(時牌)를 든 인형이 나타나 시간을 알려주는 일종의 자동시간알림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자격루는 세종 16년 경복궁 경회루 남쪽에 있는 보루각(報漏閣)에 세워졌는데, 세종 때 만든 이 자격루는 모두 사라지고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덕수궁에 있는 것은 1536년(중종31년)에 장영실이 만든 것을 개량한 것이다. 장영실은 1438년 세종에 대한 보은의 뜻으로 자격루보다 더 정교한 물시계인 ‘옥루(玉漏)’를 만들었다. 임금을 위한 궁중 물시계인 셈이다.

또한 농사를 과학적으로 짓기 위한 노력도 빠질 수 없다. 그동안 빗물이 땅에 스며든 깊이로 비의 양을 쟀으나, 땅의 성질이나 위치에 따라 다 달라 정확하지가 않았다. 마침내 1441년 장영실은 물통에 떨어지는 빗물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 빗물의 양을 재는 측우기를 만들었다. 측우기는 벽돌 모양의 돌기둥에 쇠로 만든 원통을 얹은 간단한 형태였지만, 비의 양을 효과적으로 정확하게 잴 수 있는 과학적인 기구였다. 원통형의 측우기 안에 빗물이 고이면 주척(周尺)이라 부르는 자로 측우기에 고인 물을 재서 강수량을 측정했다. 우리나라 측우기는 서양보다 200년이나 앞서 발명된 것이다.

하지만, 측우기를 처음 생각해내고 주도한 인물은 문종이라는 설(說)도 있다. 물론 문종이 측우기를 실험하고 제작하는 과정에서 장영실 등 과학기술자의 도움을 받았겠지만, 측우기 발명의 원조는 문종이라는 것이다.

장영실이 약 53세였던 1442년 3월(세종24년), 세종이 온천욕을 위해 이천을 다녀오던 중 어가(御駕)가 갑자기 부서지는 사건이 일어났다. 조정에서는 장영실이 기술자로서 그 책임이 있다 하여, 임금에 대한 불경죄로 간주하고 곤장 100대와 파직(罷職)을 구형했다. 이때 그토록 총애하던 장영실을 위해서 세종이 해주었던 것은 100대 맞을 것을 80대로 깍아 준 것뿐 이라하니 좀 야속하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이 사건은 세종의 비대한 몸무게를 감안하지 않은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다. 대신들의 눈치를 본 것일까, 아니면 결국 신분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한 것일까. 아쉬움이 드는 부분이다. 조선의 위대한 과학자 장영실은 이후 역사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삼사(三司)의 건의로 사형을 당했다는 설도 있다. 어쨌든, 장영실은 이순지·이천 등과 함께 조선 전기 최고의 과학자로 지금도 평가되고 있다.

"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