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파증불고破甑不顧 - 깨진 시루는 뒤돌아보지 않는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파증불고破甑不顧 - 깨진 시루는 뒤돌아보지 않는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3월 22일 금요일

파증불고破甑不顧 - 깨진 시루는 뒤돌아보지 않는다, 지나간 일은 깨끗이 단념하다.    

파증불고破甑不顧 - 깨진 시루는 뒤돌아보지 않는다, 지나간 일은 깨끗이 단념하다.      

파증불고(破甑不顧) - 깨진 시루는 뒤돌아보지 않는다, 지나간 일은 깨끗이 단념하다.\xa0 \xa0\xa0 \xa0

깨뜨릴 파(石/5) 시루 증(瓦/12) 아닐 불(一/3) 돌아볼 고(頁/12)

\xa0

요즘은 가정집에서 시루나 독을 구경하기 힘들다. 시루는 떡을 찌는데 쓰는 둥근 질그릇으로 아래쪽에 물이 잘 빠지도록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독은 장독을 먼저 떠올리듯 간장, 된장이나 술, 김치 등을 보관하는 큰 질그릇이다. 떡 방앗간이나 냉장고가 편리한 요즘은 속담 등 옛말에서나 남았다.

\xa0

‘시루에 물 퍼붓기’는 구멍 뚫린 시루에 물 붓는 족족 새 버리니 헛일이다. 如甑汲水(여증급수)로 한역하고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란 속담과 똑 같다. 아무리 힘이나 밑천을 들여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일을 비유할 때 적당한 비유다. 시루가 들어가는 또 다른 성어 깨진 시루(破甑)는 돌아보지 않는다(不顧)는 돌이킬 수 없는 것은 깨끗이 단념하란 뜻이다.

\xa0

南北朝時代(남북조시대) 때의 宋(송)나라 范曄(범엽)이 쓴 ’後漢書(후한서)‘에 실린 孟敏(맹민)의 고사에서 유래했다. 자가 叔達(숙달)인 맹민이 어느 때 시루를 지고 가다 떨어뜨려 깨졌는데 뒤돌아보지도 않고 갈 길을 갔다.

\xa0

지역의 명사 郭泰(곽태)란 사람이 연유를 물었더니 ’시루가 이미 깨졌는데 돌아본다고 무슨 도움이 되겠습니까(甑以破矣 視之何益/ 증이파의 시지하익)?‘하고 답한다. 곽태는 맹민의 대범하고 과단성 있는 행동에 학문을 권유해 훗날 명성을 떨치게 됐다.

\xa0

이 이야기에서 떨어뜨린 시루 墮甑不顧(타증불고)나 맹민의 자를 써 叔達破甑(숙달파증)이라고도 쓴다. 처세 격언서 ’增廣賢文(증광현문)‘에는 ’이미 떨어져 깨진 시루 되돌아본들 어찌 하겠는가(瓦甑旣墮 反顧何爲/ 와증기타 반고하위)‘라고 나온다.

\xa0

독에 관해서는 반대의 이야기가 있다. 옹기장수가 독을 팔러 장에 가다가 길에서 잠이 들었는데 많이 팔아 큰 부자가 되는 꿈을 꾸었다. 기분 좋아 기지개켜다 지게를 넘어뜨려 독이 왕창 깨졌다. 실현성이 없는 허황된 계산을 ‘독장수 구구’, 甕算(옹산)이라 한다. ‘독을 보아 쥐를 못 친다’는 말은 投鼠忌器(투서기기)라 하여 해가 되는 것을 없애버려야 하나 자기에게 손해가 올까 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다.

\xa0

과감하게 독을 깨뜨린 破甕救兒(파옹구아) 일화는 北宋(북송)의 司馬光(사마광)이 어릴 때부터 비범함을 일러준다. 같이 놀던 꼬마가 물이 가득한 독에 빠졌는데 어른들이 망설이는 사이 돌로 깨뜨려 구했다는 내용이다.

\xa0

화려한 세월이 영원히 계속되는 줄 아는 사람은 꽃이 지지 않을 것이라며 花無十日紅(화무십일홍)을 모른 척 한다. ‘죽은 자식의 귀 모양 좋다 하지 말라’란 속담이 잘 말해준다. 이미 잃어버렸거나 다 틀어진 일을 놓고 자랑하거나 아까워해 보았자 소용이 없다. 과거에 연연해서 좋은 일이 다시 올 것만 기대해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면 가슴만 탄다.

\xa0

‘대나무 숲에 바람이 지나가도 소리는 남지 않고(風過而竹不留聲/ 풍과이죽불류성), 못 위로 기러기가 날아간 뒤 그림자가 남을 리 없다(雁去而潭不留影/ 안거이담불류영).’ 菜根譚(채근담) 어록이다. 이미 끝난 일은 깨끗이 잊는 사람이 새 출발을 잘 할 수 있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