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5일 수요일

4월 26일ㅣ오늘의 꽃

4월 26일ㅣ오늘의 꽃

4월 26일ㅣ오늘의 꽃

이 름 : 논냉이(Cardamine Iyrata)

학 명 : Cardamine lyrata

과 명 : 겨자과

분 포 : 한국(전남·전북·경기·함남)

서 식 : 논밭 근처의 도랑

크 기 : 높이 30∼50cm

개 화 : 4∼5월

꽃 말 : 불타는 애정(A burning love)

논황새냉이라고도 한다. 주로 논밭 근처의 도랑에서 자란다. 높이 30∼5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모가 나며 꽃이 질 때 땅위로 기는 가지를 벋는다. 가지의 잎은 둥글고 홑잎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깃꼴겹잎이고 제일 끝의 작은잎이 가장 크다. 작은잎은 3∼13개이고 둥글거나 타원형이며 톱니가 없고 가장자리는 약간 물결 모양이다.

꽃은 흰색으로 4∼5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약 4mm로 녹색의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4개이며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길이 8∼10mm이다. 수술은 6개 중 4개가 길다. 열매는 각과로 길이 1∼2cm의 대가 있으며 길이 2∼3cm, 나비 1mm로 비스듬히 위로 퍼진다. 종자에 날개가 있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국(전남·전북·경기·함남)·일본·중국·몽골·헤이룽강 등지에 분포한다.

살다가 보면

살다가 보면

살다가 보면

넘어지지 않을 곳에서

넘어질 때가 있다

사랑을 말하지 않을 곳에서

사랑을 말할 때가 있다

눈물을 보이지 않을 곳에서

눈물을 보일 때가 있다

살다가 보면

사랑하는 사람을

사랑하지 않기 위해서

떠나보낼 때가 있다

떠나보내지 않을 것을

떠나보내고

어둠 속에 갇혀

짐승스런 시간을

살 때가 있다

-이근배 ‘살다가 보면’ 중-

♨ 좋은글 더보기 : iusan.com

4월 25일ㅣ오늘의 꽃

4월 25일ㅣ오늘의 꽃

4월 25일ㅣ오늘의 꽃

이 름 : 중국 패모(Gritillaria Thunbergii)

학 명 : Fritillaria verticillata var. thunbergii

과 명 : 백합과

분 포 : 중국원산

서 식 : 약용식물로 재배

크 기 : 높이 30∼80cm

개 화 : 4∼5월

꽃 말 : 위엄(dignity)

중국이 원산지이며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비늘줄기는 육질의 비늘 조각이 2개가 모여 둥근 모양을 이루고 지름이 1.5∼3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80cm이다. 잎은 2∼3개씩 돌려나고 길이 7∼15cm의 줄 모양이며 잎자루가 없고 줄기 윗부분의 잎과 포는 끝은 말려서 덩굴손처럼 된다.

꽃은 4∼5월에 피고 줄기 끝 부분에 1∼4개가 밑을 향하여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가 1∼2cm이고, 화피는 연한 노란 색이며 안쪽에 자줏빛 그물 무늬가 있고 끝이 6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길이 2.5∼3cm의 긴 타원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밑 부분에 선체(腺體)가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고 짧은 육각형이며 6개의 날개가 있다.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패모(貝母)라는 약재로 쓰는데, 진해·거담·지혈·배농·이뇨 및 진통 작용이 있으므로 기관지염·천식·해수·폐결핵·폐농양·유방염·위산과다·위궤양 등에 사용한다.

4월 24일ㅣ오늘의 꽃

4월 24일ㅣ오늘의 꽃

4월 24일ㅣ오늘의 꽃

이 름 : 제라늄(Geranium)

학 명 : Pelargonium inquinans

과 명 : 쥐손이풀과

분 포 : 남아프리카 원산

서 식 : 조경, 화분

크 기 : 높이 30∼50cm

개 화 : 5∼8월

꽃 말 : 결실(fruition)

남아프리카 원산이다. 줄기는 높이 30∼50cm이고 육질이다. 잎은 부드러우며 자루가 길고 심장 모양 원형이며 극히 얕게 패어 있는 것과 더불어 톱니가 있다.

꽃은 봄에서 여름에 걸쳐 피고 긴 꽃줄기 끝에 자루가 있으며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이 피기 전에는 꽃봉오리가 밑으로 처졌다가 위로 향하여 피며 꽃의 색깔은 품종에 따라 다양하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암술은 1개로서 5실의 씨방이 있다.

일반적으로 제라늄이라고 말하는 P. x hortorum는 무늬제라늄(P. zonale)와 P. inquinans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P. inquinans 가 속한 속의 식물들을 속명(屬名)인 펠라르고늄으로 불리는 것과는 구별한다. 무늬제라늄은 잎에 말굽 같은 검은 무늬가 있어 P. inquinans와 구별이 된다.

4월 23일ㅣ오늘의 꽃

4월 23일ㅣ오늘의 꽃

4월 23일ㅣ오늘의 꽃

이 름 : 도라지(Balloom-Flower)

학 명 : Platycodon grandiflorum, Platycodon grandiflorus

과 명 : 초롱꽃과

분 포 : 한국·일본·중국

서 식 : 산·들

크 기 : 높이 40∼100cm

개 화 : 7∼8월

꽃 말 : 상냥하고 따뜻함(kind and warm)

길경·도랏·길경채·백약·질경·산도라지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줄기는 곧게 자라며 자르면 흰색 즙액이 나온다. 높이는 40∼10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없다. 잎의 끝은 날카롭고 밑부분이 넓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색빛을 띤 파란색이며 털이 없고 길이 4∼7cm, 너비 1.5∼4cm이다.

꽃은 7∼8월에 흰색 또는 보라색으로 위를 향하여 피고 끝이 퍼진 종 모양으로, 지름 4∼5cm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받침도 5개로 갈라지고 그 갈래는 바소꼴이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고 씨방은 5실(室)이며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조각이 달린 채로 익는다. 번식은 종자로 잘된다. 봄·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날것으로 먹거나 나물로 먹는다. 도라지의 주용 성분은 사포닌이다. 생약의 길경(桔梗)은 뿌리의 껍질을 벗기거나 그대로 말린 것이며, 한방에서는 치열(治熱)·폐열·편도염·설사에 사용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백도라지(for. albiflorum), 꽃이 겹으로 되어 있는 것을 겹도라지(for. duplex), 흰색 꽃이 피는 겹도라지를 흰겹도라지(for. leucanthum)라고 한다. 꽃말은 영원한 사랑이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4월 22일ㅣ오늘의 꽃

4월 22일ㅣ오늘의 꽃

4월 22일ㅣ오늘의 꽃

이 름 : 과꽃(China Aster)

학 명 : Callistephus chinensis

과 명 : 국화과

분 포 : 한국(북부), 만주 동남부 지방

서 식 : 조경용 재배

크 기 : 높이 30∼100cm

개 화 : 7∼9월

꽃 말 : 믿음직한 사랑(A solid love)

취국·당국화라고도 한다. 높이 30∼100cm이다. 줄기는 자줏빛을 띠고 가지를 많이 치며, 풀 전체에 흰 털이 많이 나 있다. 잎은 어긋나고 거친 톱니가 있다. 아랫부분에 난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는데, 주걱 모양의 잎자루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7∼8.5cm로 털이 나고 좁은 날개가 있다.

4월 중순경에 꽃씨를 뿌리면 7∼9월에 꽃이 핀다. 꽃은 국화와 비슷한데 지름 6∼7.5cm로 긴 꽃자루 끝에 1개씩 달린다. 빛깔은 흰색·보라색·빨간색· 분홍색·자주색·노란색, 여러 가지 빛깔이 섞인 색 등 다양하다. 총포는 공을 반으로 자른 모양이고 총포조각은 3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로 납작한 바소꼴의 긴 타원형이며 털이 있다.

화단용과 꽃꽂이용으로 많이 재배한다. 어린 순은 식용한다. 원래 한국의 북부와 만주 동남부 지방에 자생하던 한해살이 화초였으나, 18세기 무렵 프랑스로 건너가 프랑스 ·독일 ·영국 등지에서 현재의 과꽃으로 개량되었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야생종이 함경남도(부전고원 ·혜산진) ·함경북도(백두산) 등지에 분포한다.

4월 21일ㅣ오늘의 꽃

4월 21일ㅣ오늘의 꽃

4월 21일ㅣ오늘의 꽃

이 름 : 수양버들(Weeping Willow)

학 명 : Salix babylonica

과 명 : 버드나무과

분 포 : 한국·일본·중국

서 식 : 물가나 습지

크 기 : 높이 15~20m

개 화 : 4월

꽃 말 : 내 가슴의 슬픔(The sorrows of my heart)

물가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5~20m 정도. 나무 껍질은 흑갈색이며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가지는 아래로 늘어지며 작은 가지는 적자색이다. 잎은 길이 3~6cm의 좁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혹은 작은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흰 빛이 돌고 잎자루는 짧다.

꽃은 암수딴그루로서 4월에 잎과 함께 황록색으로 피는데 수꽃은 2∼4cm, 암꽃은 2∼3cm이며 털이 나 있다. 열매는 털이 많은 원뿔 모양의 삭과(朔果)로 5월에 익는다. 봄이면 공중을 날아다니며 코를 간지럽히거나 재채기를 나게 하는 것이 바로 수양버들의 홀씨이다.

"

수양버들의 가지를 유지, 잎을 유엽, 꽃을 유화, 뿌리를 유근, 나무껍질을 유백피, 털이 달린 씨를 유서라 하여 모두 약으로 쓴다. 특히 가지는 중풍·거담·종기·소염에, 잎과 껍질은 지혈·감기·이뇨·해열·황달·치통에 효능이 있다.

",

나무 형태가 운치 있으며 생장속도가 빠르고 또 공해나 추위에도 강해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목재는 건축용이나 각종 기구재로 쓰이며, 번식은 주로 꺾꽂이로 한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4월 19일ㅣ오늘의 꽃

4월 19일ㅣ오늘의 꽃

4월 19일ㅣ오늘의 꽃

이 름 : 제비고깔(Larkspur)

학 명 : Delphinium grandiflorum var. chinense

과 명 : 미나리아재비과

분 포 : 한국의 북부지방

서 식 : 산지

크 기 : 높이 약 60cm

개 화 : 7∼8월

꽃 말 : 청명(clarity)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60cm 정도이며 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길며 윗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3개로 갈라지며 옆갈래조각은 2∼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2∼3개로 갈라져서 줄 모양으로 된다. 중앙갈래조각은 2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2개로 갈라지며 양면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뒷면에 긴 털이 섞여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짙은 하늘색이고 포와 작은포는 녹색이며 줄 모양이다. 작은꽃자루는 밑부분의 것은 길며 윗부분의 것은 짧고 꼬부라진 흰색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겉에 꼬부라진 털과 긴 털이 있고 위쪽의 것은 긴 꿀주머니가 있다.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고 막질이다. 열매는 골돌과로서 3개이고 갈색 털이 있다. 한국의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4월 20일ㅣ오늘의 꽃

4월 20일ㅣ오늘의 꽃

4월 20일ㅣ오늘의 꽃

이 름 : 배나무(Pear)

학 명 : Pyrus

과 명 : 장미과

분 포 : 우리나라, 중국, 일본

서 식 : 식용 재배

크 기 : 높이 5~10m

개 화 : 4월

꽃 말 : 온화한 애정(A gentle affection)

낙엽교목 또는 관목으로 꽃은 흰색이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다. 과피는 갈색이거나 녹색을 띤 갈색이고 과육에는 돌세포石細胞가 들어 있다. 암술은 2∼5개, 수술은 여러 개이다. 열매는 꽃턱이 발달해서 이루어지며 2∼5실을 기본으로 한다. 종자는 검은빛이다.

한국에서도 옛날부터 고실네·황실네·청실네 같은 품종들을 재배하였고, 지방에 따라 금화배·함흥배·안변배·봉산배가 유명하였다. 1906년 서울 근교 뚝섬에 원예모범장을 세우고 일본배를 도입, 재배하면서 이들 재래배는 점차 사라졌다. 뒤에 일본배 장십랑(長十郞)과 재래배 청실네를 교배하여 단배를 신품종으로 육성하였다.

시간이 인생이다.

시간이 인생이다.

시간이 인생이다.

\xa0

시간이 삶이다.\xa0

\xa0

인생을 산다는 것은 주어진 시간을 활용하여

살아간다는 것이다.\xa0

\xa0

누구나 하루에 24시간이 주어지지만 그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삶이 결정된다.\xa0

\xa0

낭비된 시간은 인생에서 돌이킬 수 없는 아까운

시간이다. 시간을 헛되이 흘러 보내지 마라.\xa0

\xa0

그러기위해서는 인생에서 무엇이 소중한 것인지를

알고 그것에 맞게 삶을 사용해야 한다.\xa0

\xa0

주어진 시간을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일에 사용하는

것이 시간을 올바르게 사용한 것이다.\xa0

\xa0

무엇보다도 서로를 사랑하는 일에 시간을 사용하기 바란다.

사랑만은 언제나 우리의 가슴에 남게 되기 때문이다.\xa0

\xa0

-민예원-\x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