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6일 화요일

나이별 호칭 1편

■ 나이별 호칭 1편

■ 나이별 호칭 1편

* 막 태어났을 때 : 남-농경(弄璟), 여-농와(弄瓦)

예전에는 아들을 낳으면 구슬(경=璟) 장난감을 주었다고 하는데, 여기서 유래하여 아들을 낳은 경사를 농경지경(弄璟之慶)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딸을 낳으면 실패(瓦)를 장난감으로 준 것에서 딸을 낳은 경사를 농와지경(弄瓦之慶)이라고 한다.

* 2~3세 - 제해(提孩)

제(提)는 손으로 안는다는 뜻이고, 해(孩)는 어린아이란 뜻이다. 아기가 처음 웃을 무렵(2~3세)을 뜻하는 것으로, 해아(孩兒)라고 쓰기도 하고 아해라고도 한다.

* 15세 - 지학(志學)

공자(孔子)가 15세 때 학문(學文)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유래 되었다. 또는 육척(六尺) 이라고도 하는데 주(周)나라의 척도에 1척(尺)은 두 살 조금 지난 아이의 키를 뜻한다. 그래서 6척은 15세를 뜻하고, 삼척동자(三尺童子)는 10살이 채 안된 아이를 일컫는 말이다.

* 16세 - 과년(瓜年)

"

과(瓜)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八이 되므로 여자 나이 16세를 말한다. 특별히 16세를 강조한 것은 옛날에는 이때가 결혼 적령기였기 때문이다.

",

* 20세 - 약관(弱冠)

20세를 전후한 남자로 요즘은 없어졌지만 옛날에는 원복(元服;어른이 되는 성례 때 쓰던 관)식을 했다고 한다. 예기(禮記)의 `곡례편(曲禮編)\에 "二十弱 하니, 冠이라" 하여 `20세는 약(弱)하지만 갓을 쓴다\는 뜻인데, 그 의미는 갓 쓰는 어른이 되었지만 아직 약하다는 뜻이다.

* 20세 - 방년(芳年)

20세를 전후한 왕성한 나이의 여자로 꽃다운(芳) 나이(年)를 뜻한다.

* 30세 - 이립(而立)

공자(孔자)가 30세에 자립(自立)했다고 말 한데서 유래했다.

* 40세 - 불혹(不惑)

공자(孔子)가 40세에 모든 것에 미혹(迷惑) 되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또는 강사(强仕) 라고도 하는데 예기(禮記)에 "사십일강 이사(四十日强 而仕)"라는 구절이 있다. "마흔 살을 강(强)이라 하는데, 이에 벼슬길에 나간다" 는 뜻이다.

- 2편에 계속 -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