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5일 금요일

우리말 나들이

■ 우리말 나들이

■ 우리말 나들이

1. 쑥맥

"

세상 물정(物情)을 모르는 어리숙한 사람을 가리킬 때 흔히 쑥맥이라고 한다. 이 말은 숙맥(菽麥)으로 써야 옳다. 숙(菽)은 콩이고, 맥(麥)은 보리인데, 숙맥이 어째서 어리숙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을까? 숙맥의 원말은 ‘숙맥불변(菽麥不辨)’이었다. 변(辨)은 변별하다 또는 구별하다는 뜻이므로, 숙맥불변은 글자 그대로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콩인지 보리인지는 어린아이가 봐도 금세 알 수 있는데, 그 쉬운 것도 분간하지 못하니 어리석고 바보같다 는 뜻이다. 이 숙맥불변을 다 말하기 번거로워 숙맥으로 줄이게 되었고, 이것을 말하다 보니 숙맥의 숙을 된소리로 발음하여 쑥맥이 되었다.

",

2. 구설수(口舌數)

"

혀 설(舌)자는 입口에서 혀가 튀어나온 모양千을 나타낸 글자이다. 구설수(口舌數)는 ‘말을 잘못해서 어려운 일을 겪는 것’을 말한다. 수(數)는 여기서 운수(運數)라는 뜻이다. 글은 잘못 쓰면 고치면 되지만, 말은 뱉고 나면 다시 주워 담을 수가 없다. 쓸데없는 한 마디 말로 인해 오랫동안 여러 사람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는 것을 ‘구설수에 오르다’라고 표현한다. 말이 많다 보면 실언(失言), 즉 말실수를 하게 마련이다. 쓸데없는 구설(口舌)에 오르지 않으려면 말을 아껴야 한다. 우리 속담에 세 치 혓바닥이 몸을 베는 칼이라는 말이 있다. 혀는 그 길이가 삼 촌(三寸), 즉 세 치(약 10센티미터)에 지나지 않지만, 이 혀를 잘못 놀리면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혀는 가장 짧으면서 가장 위험한 무기이다. 말 한 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가 하면, 혀를 잘못 놀려 힘들게 쌓아 올린 공든탑이 하루아침에 무너지거나 큰일을 당하기도 한다.

",

풍도(馮道)라는 사람은 당나라가 망하고 송나라가 들어서기 전인 오대(五代) 시절에 무려 다섯 왕조에 여덟 성씨, 열한 명의 천자를 잇따라 섬기면서 도탄(塗炭)에 빠진 백성을 건졌던 이름난 재상이다. 그는 어지러운 시대를 살면서 누구보다 말의 위력(威力)을 잘 알았다. 그래서 그는 혀를 가지고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입은 재앙이 들어오는 문이고 혀는 제 몸을 베는 칼이다. 口是禍之門(구시화지문) 舌是斬身刀(설시참신도)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어 두면 가는 곳마다 몸이 편안하리라. 閉口深藏舌(폐구심장설) 安身處處宇(안신처처우)

남의 구설(口舌)에 오르내리는 것, 즉 말조심을 당부하는 내용이다. 사람이 살면서 말을 하지 않고서야 살 수 없겠지만, 공연히 안 해도 될 쓸데없는 말로 남의 원한(怨恨)을 사거나 원망(怨望)을 부르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