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7일 일요일

군계일학群鷄一鶴 - 닭 무리속의 한 마리 학, 여럿 중에서 뛰어난 사람

군계일학群鷄一鶴 - 닭 무리속의 한 마리 학, 여럿 중에서 뛰어난 사람

군계일학(群鷄一鶴) - 닭 무리속의 한 마리 학, 여럿 중에서 뛰어난 사람

\xa0

무리 군(羊/7) 닭 계(鳥/10) 한 일(一/0) 학 학(鳥/10)

\xa0

많은 사람 중에서는 뛰어난 사람도 있다.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조그마한 재주가 있어도 표가 난다. 이런 경우는 庸中佼佼(용중교교)다. 더 큰 재주를 지녔다면 ‘닭이 천이면 봉이 한 마리 있다’고 하여 봉이 나서지 않아도 저절로 눈에 띈다. 봉이 아니라도 닭의 무리 속에서(群鷄) 부리와 다리가 길어 우뚝한 학이 홀로(一鶴) 서 있을 때는 눈에 띌 수밖에 없다.

\xa0

많은 사람 가운데 뛰어난 인물을 가리키는 말이 많이 있는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말이다. 앞서 소개한 鶴立鷄群(학립계군)과 같이 唐(당)나라 房玄齡(방현령) 등이 엮은 ‘晉書(진서)‘의 嵆紹(혜소, 嵇는 산이름 혜)를 가리킨 말에서 왔다.

\xa0

後漢(후한)이 멸망한 뒤 혼란한 세상을 등지고 초야에 묻혀 悠悠自適(유유자적)하는 사람이 많았다. 명리는 티끌보다 못하게 여기고 술을 즐기며 시로 나날을 보냈는데 대표적인 인물들이 竹林七賢(죽림칠현)이다. 이 중 晉(진)나라의 嵇康(혜강)의 아들이 혜소였다.

\xa0

혜강은 문학적 재능이 뛰어났지만 반유교적 사상으로 권력층의 미움을 받던 중 무고를 받은 친구를 변호하다 억울하게 목숨을 잃고 말았다. 당시 열 살인 혜소가 장성하자 아버지의 친구이자 역시 칠현 중의 한 사람인 山濤(산도)가 부자간의 죄는 서로 미치지 않는다며 왕에게 적극 추천하여 비서승에 올랐다.

\xa0

혜소가 처음 수도인 洛陽(낙양)으로 왔을 때 어떤 사람이 그 모습을 보고 철현의 한 사람인 王戎(왕융)에게 전한다. 구름같이 많은 사람들 틈에 끼어서 궁궐로 가는 모습이 ‘의젓하고 늠름하여 마치 닭의 무리 속에 있는 한 마리의 학과 같았다(昂昂然如 野鶴之在雞群/ 앙앙연여 야학지재계군)’고 표현했다.

\xa0

혜소의 부친을 잘 아는 왕융은 아버지가 떠 뛰어났다고 말해 주었다. 이렇게 우뚝한 혜소는 그러나 관직생활이 불행했다. 진나라 말기 司馬(사마)씨의 왕족 8명이 난립하여 八王(팔왕)의 난을 벌였을 때 혜소가 왕을 호위하다 반란군의 화살에 맞아 숨을 거뒀다. 혜소가 흘린 피로 어의가 벌겋게 물들었으나 왕은 충절의 피라며 빨지 못하게 했다. 忠穆(충목)이라 시호를 받은 혜소는 이후 충절의 대명사가 됐다.

\xa0

그렇고 그런 무리 중에서 우뚝한 존재라면 어떤 재주라도 앞선다고 인정하는 것이 옳다. 그런데 서로가 잘났다고 조금도 양보하지 않으면 뛰어난 사람도 능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속담이 말하듯 조금이라도 뛰어난 존재는 깎아내리기 바쁘다.

\xa0

일반 사람의 사회에서 앞서는 실력을 인정하면서도 은연중 약점을 찾기 마련인데 정치 지도자들은 상대방의 정 때릴 곳을 찾느라 눈이 벌겋다. 경쟁을 하더라도 인정할 것을 인정하지 않고 사생결단으로 흠을 찾아 매장시킨다. 이렇게 해서는 한 마리의 학도 나타나지 못하고 닭만 우글거린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