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유불급過猶不及 -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과유불급(過猶不及) -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지날 과(辶/9) 오히려 유(犬/9) 아닐 불(一/3) 미칠 급(又/2)
무슨 일이거나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어른들이 집안 자녀들을 훈계하는 말씀 중에 꼭 들어 있다. 孔子(공자)님 말씀이라며 두고두고 가르쳤다. 그런데 일을 처리하거나 수행할 때 목표를 초과 달성한 것이 모자란 것과 같다는 말인데 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일반 회사에서의 실적을 두고 보면 목표를 넘겼을 때 표창할 텐데 모자란 것과 같다니. 물론 이 말은 물질적 성과만 가지고 성패를 따지는 것은 아니다. 지나친 것도 모자라는 것도 경계한 中庸(중용)의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공자의 제자 중에 고생도 함께 하고 각 분야에 뛰어난 10명을 孔門十哲(공문십철)이라 한다. 이들을 덕행, 언어, 정사, 문학의 四科(사과)로 나누어 평가를 한 내용이 "선진편(先進篇)"에 나온다. 바로 "德行 顔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 言語 宰我 子貢, 政事 冉有 季路, 文學 子游 子夏(덕행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 언어 재아 자공, 정사 염유 계로, 문학 자유 자하)"이다. 騫은 이지러질 건, 冉은 늘어질 염.
過猶不及에 거론되는 자하와 십철에는 빠져있는 子張(자장)을 비교해 자공이 묻는 것에 대해 공자가 답한다.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미치지 못한다/ 師也過 商也不及(사야과 상야불급)"고 말하면서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過猶不及)"고 설명한다. 師는 자장, 商은 자하의 이름이다. 공자는 자장의 극단적인 경향과 자하의 소극적인 면을 의식하고 그들에게 중용의 깨우침을 주기 위해 평가한 것이다. / 글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