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부구조竊符求趙 – 훔친 병부로 조나라를 구하다, 큰일을 위해 사소한 정을 버리다.
절부구조(竊符求趙) – 훔친 병부로 조나라를 구하다, 큰일을 위해 사소한 정을 버리다.
\xa0
훔칠 절(穴/17) 부호 부(竹/5) 구할 구(氺/2) 나라 조(走/7)
\xa0
어떤 일이 닥쳤을 때 이치에 맞게 따져보고 처리하는 것이 옳다. 하지만 개인이나 조직의 생사가 걸렸다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게 된다. ‘급하면 임금 망건 사러 가는 돈이라도 쓴다’는 속담이 있다. 나중엔 어찌 되더라도 급할 때는 어떤 돈이든 가리지 않고 써 버린다.
\xa0
사후에 일이 잘 해결됐을 때 임기응변이 능하다고 되레 칭찬을 들을 수도 있다. 실패했을 때는 비난을 덮어 쓰지만 모든 일이 잘 풀려 성공하면 하나하나 정의를 따지지 않는 법이다. 병부를 훔쳐(竊符) 조나라를 구했다(求趙)는 이 성어는 큰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소한 정이나 의리는 버려도 무방하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xa0
兵符(병부)는 發兵符(발병부)의 준말로 군대를 동원하는 패인데 가운데를 쪼개 왕과 지휘 장군이 한 쪽씩 갖는다. 이것을 훔친다면 필시 옳지 않은 일일 텐데 그 전말이 ‘史記(사기)’ 魏公子(위공자) 열전에 기록돼 있다. 위공자는 戰國時代(전국시대) 사공자의 한 사람인 信陵君(신릉군)이다. 신릉군은 安釐王(안희왕, 釐는 다스릴 리, 복 희)의 이복동생으로 사람됨이 어질고 선비를 존중하여 빈객이 3000명이나 모였다. 문지기 일을 하는 70세 된 은사 侯嬴(후영, 嬴는 찰 영)을 삼고초려했고, 힘이 장사인 백정 朱亥(주해)도 모셨다.
\xa0
이웃 趙(조)나라가 강국 秦(진)나라의 침입을 받자 위나라에 구조를 요청했다. 조나라 平原君(평원군)은 신릉군의 매부였으니 도움을 주지 않을 수 없었다. 안희왕은 군사 10만을 보내는 중 진나라에서 조나라 돕는 나라는 멸할 것이라는 엄포에 진격을 중단시켰다.
\xa0
급한 신릉군이 빈객만으로 조나라로 가려는 것을 후영이 ‘굶주린 호랑이한테 고깃덩이를 던져주는 격(肉投餒虎/ 육투뇌호, 餒는 주릴 뇌)’이라며 말렸다. 왕의 총애를 받는 如姬(여희)를 시켜 병부를 훔치게 하고는 역사 주해를 데려가라고 했다. 신릉군은 후영의 계책대로 병부를 훔쳐갔으나 장군이 의심했으므로 주해를 시켜 없애고는 병사를 이끌고 가서 위기에 빠진 조나라를 구했다.
\xa0
신릉군의 행위는 위나라로 보면 반역이다. 하지만 조나라는 핏줄로 맺어진 이웃이라 수단방법을 안 가리고 구했다. 실제 뒷날 위나라에 진의 침입을 막은 것도 신릉군의 의리에 의해서였으니 조국을 도운 셈이다. 급할 때는 온갖 방법을 쓴다고 해서 옳지 않은 일을 저지른 뒤 핑계를 갖다 대서는 안 되겠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