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일 월요일

귀성군 이준과 남이장군 1편

■ 귀성군 이준과 남이장군 1편

■ 귀성군 이준과 남이장군 1편

예종은 재위기간이 1년 3개월 밖에 되지 못했다. 그래서 우리에게는 별로 존재감이 없는 왕이지만, 실록을 통해서 본 예종은, 『성품이 영명과단(英明果斷:총명하고 일에 과단성이 있음)하고 공검연묵(恭儉淵默:공손하고 겸손하며 속이 깊고 말이 없음)하며, 서책에 뜻을 두어 시학자(侍學者)로 하여금 날마다 세 번씩 진강(進講:임금 앞에서 강론함)하게 하고, 몹시 춥거나 더울 때도 그만두지 않았다』 고 한다.

병세가 깊어져가던 세조는 죽음을 예감하고 죽기 하루 전날인 1468년(세조14년)에 세자(예종)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예종의 나이 19세였다. 예종은 짧은 재위기간 동안 나름 개혁을 추진해 보려했으나 채 실행해 보기도 전에 갑자기 죽고 말았다.

이미 세조 말기부터 한명회와 신숙주 등의 권신(훈신)세력과 종친세력의 대립이 격화되고 있었다. 이 대립은 세조가 만든 것이나 다름없었다. 훈신세력이 너무 거대해지자 세조가 죽기 전에 젊은 세자를 위해서 그들을 견제 할 신진세력을 양성하려고 평소 총애하고 있던 종친인 귀성군 이준(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의 아들)과 외척인 남이(태종의 사위인 남휘의 손자)에 대해 파격적인 인사를 단행했다. 하지만 예종은 즉위 후 세조의 뜻대로 한명회, 신숙주를 필두로 하는 훈신들을 견제하기 위해 젊은 종친인 이준과 외척 남이와 힘을 합치지 않았다.

예종은 귀성군 이준이나 남이를 싫어했다. 예종은 세자시절부터 세조가 그들을 너무 총애하는 모습에 질투와 경계심을 느꼈던 것이다. 특히 귀성군 이준은 예종의 사촌 형으로 언제든지 예종을 몰아내고 왕이 될 수도 있는 왕위계승 서열 몇 순위 안에 있었다. 그런 귀성군 이준이 총사령관이 되어 ‘이시애의 난(함경도 차별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난)’을 평정하고, 스물여덟의 젊은 나이로 병조 판서를 거쳐 영의정까지 올랐으니, 스무 살이 채 안 된 젊은 예종이 질투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게다가 귀성군 이준은 역사서에 『귀성군은 가문도 좋고, 키도 훤칠했으며 잘생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세조의 후궁에게 연애편지를 받는, 당시로서는 상상하기도 힘든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귀성군 이준은 자신의 행실에 신중하고 사리판단이 밝았으며, 종친이든 훈신이든 가리지 않고 신하들 사이에서의 처신도 두루 잘했다.

예종은 세조의 유지(遺志)에 따라 즉위 직후 귀성군 이준을 그대로 영의정에 두었지만, 귀성군 이준에 대한 경계심은 완전히 버리지 않고 있었다.

- 2편에 계속

"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