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8일 월요일

면후심흑面厚心黑 - 얼굴이 두껍고 마음이 검다.

면후심흑面厚心黑 - 얼굴이 두껍고 마음이 검다.

면후심흑(面厚心黑) - 얼굴이 두껍고 마음이 검다.

낯 면(面/0) 두터울 후(厂/7) 마음 심(心/0) 검을 흑(黑/0)

\xa0

우리는 자기의 얼굴을 선택하는 자유는 없다. 하지만 ‘사람의 얼굴은 열 번 변한다’는 속담이 내려오는 것으로 보아 마음을 가꾸는 데 따라 달리 보이게 할 수는 있다. 자기 얼굴 못생긴 것은 생각지 못하고 거울만 깨뜨려서는 나아지지 않는다.

\xa0

사람의 첫 印象(인상)은 人相(인상)이 좌우하기 마련이다. 아주 험악하게 생기지 않았다면 사람의 얼굴이 두꺼운지 알 수가 없다. 그런데도 낯이 두꺼워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厚顔無恥(후안무치)는 남에게 피해가 가건 말건 제 잇속만 차리는 사람을 일컬으니 행동에 따른 말이겠다.

\xa0

앞서 소개한 적이 있는 대로 厚顔(후안)은 詩經(시경)에서부터 등장했다. 小雅(소아) 巧言(교언)편에 ‘피리 불듯 교묘한 말은 창피도 모르는 뻔뻔한 자들이 내뱉는다네(巧言如簧 顔之厚矣/ 교언여황 안지후의)’란 구절에서 왔다. 簧은 생황 황. 낯이 두꺼운 것(面厚)을 넘어 마음까지 시커멓다(心黑)면 더 가관이겠다. 이것을 줄여 厚黑(후흑)이라고도 한다.

\xa0

중국 淸(청)나라 말기의 기인 李宗吾(이종오)가 저술한 ‘厚黑學(후흑학)’에서 유래한다. 그를 소개한 것을 보면 고대 역사를 통해 승자가 되기 위해서는 뻔뻔하고 음흉해야 한다고 했다. 왕조의 흥망성쇠를 논한 사관들의 평은 잘못됐고, 낯가죽이 두껍고 마음은 시커먼 사람들이 나라를 차지하는데 성공했다고 결론 낸다.

\xa0

최후의 지도자는 다른 사람의 공격에 상처받지 않고 마음이 미동도 않아야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春秋時代(춘추시대) 越(월)나라의 句踐(구천)은 吳(오)의 夫差(부차)에게 패한 뒤 애첩 西施(서시)를 바치고 10년 동안 신하를 지내면서 치욕을 견뎌내어 마침내 설욕한다. 臥薪嘗膽(와신상담) 고사의 주인공 부차가 중국 역사를 통틀어 최고의 후흑 대가라 평가했다.

\xa0

국내서 발간된 ‘楚漢志(초한지) 후흑학’(신동준 저)에서는 項羽(항우)와 劉邦(유방)의 쟁패전 때 활약한 영웅들을 面薄心白(면박심백)부터 면후심흑까지 4단계로 나눠 분석하여 흥미롭다. 더 잔인하고 뻔뻔했던 유방이 모든 조건에서 앞선 항우를 물리치고 최후의 승리를 차지했다. 이처럼 나라를 이끌려는 원대한 포부를 가진 사람 말고 일반 사회에서 이런 낯을 가져서는 배척받는다. 남이 어떻게 생각하든 제갈 길만 가다가 역풍을 맞는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