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8일 월요일

비익연리比翼連理 - 비익조와 연리지, 화목한 부부나 남녀관계를 비유하는 말

비익연리比翼連理 - 비익조와 연리지, 화목한 부부나 남녀관계를 비유하는 말

비익연리(比翼連理) - 비익조와 연리지, 화목한 부부나 남녀관계를 비유하는 말

견줄 비(比/0) 날개 익(羽/11) 이을 련(辶/7) 다스릴 리(玉/7)

\xa0

상상 속의 새 比翼鳥(비익조)는 암수가 눈과 날개가 하나뿐이어서 짝을 짓지 않으면 날지 못한다고 한다. 이와는 달리 두 나무의 가지가 맞닿아 서로 붙어 있는 連理枝(연리지)는 종종 볼 수 있다. 비익조는 암수 한 쌍이 합쳐야만 양 옆을 제대로 볼 수 있고 날 수가 있으니 항상 같이 다니는 부부 사이의 정을 비유하는 말이 되었다. 연리지는 뿌리가 달라도 서로 엉켜 한 나무처럼 자랐으니 부부애가 진한 것을 나타냈다. 이 둘을 합쳐 된 比翼連理(비익연리)야 말로 부부 금실琴瑟이 그 이상 좋을 수가 없음을 말한다.

\xa0

중국 唐(당)나라의 白居易(백거이, 772~846)는 樂天(낙천)이란 자로 더 잘 알려진 中唐(중당) 시기의 시인이다. 중당은 당제국이 전성기를 지나 혼란을 거쳐 변혁을 보인 756년에서 835년 사이를 말한다. 호가 香山居士(향산거사)인 백낙천의 시는 쉬우면서도 글이 매끄러워 많은 사람들이 좋아했다.

\xa0

현실을 반영하고 모순을 고발하는 新樂府(신악부)에도 힘썼지만 서정에도 뛰어나 장편 명작을 남겼다. 이 중 ‘長恨歌(장한가)’는 전체가 4장에 120행이나 되는 장편 서사시로 6대 황제 玄宗(현종)과 4대 미인에 드는 楊貴妃(양귀비)의 비련을 그렸다. 마지막 장에 비익과 연리를 합친 표현이 등장한다.

\xa0

부분을 보자. ‘칠월칠일 칠석날 장생전에서 밤중 아무도 없는 곳에서 속삭일 때(七月七日長生殿 夜半無人私語時/ 칠월칠일장생전 야반무인사어시), 하늘에선 날개 붙은 두 마리 새가 되고 땅에선 가지 붙은 두 나무 되길 원하네(在天願作比翼鳥 在地願爲連理枝/ 재천원작비익조 재지원위연리지), 높은 하늘 아득한 땅 다할 때가 있건만 이 슬픈 사랑의 한 다랄 날 없으리라(天長地久有時盡 此恨綿綿無絶期/ 천장지구유시진 차한면면무절기).’ 실제 漢(한)의 武帝(무제)와 李夫人(이부인)를 표현했어도 현종과 양귀비를 나타내는 구절이 많이 나온다. 시가 길고 쉽지는 않아도 어린이도 알 수 있는 노래(童子解吟長恨曲/ 동자해음장한곡)로 불렸다.

\xa0

백세시대라 할 정도로 수명이 늘어난 오늘날은 실제 백년을 같이 살며 즐거워하고(百年偕樂/ 백년해락), 같이 늙어 죽어서도 한 곳에 묻히기(偕老同穴/ 해로동혈) 원하던 부부가 줄어드는 듯하다. 젊은 사람들의 이혼이 늘어난 것 못지않게 黃昏離婚(황혼이혼)도 늘어나는 추세라니 말이다.

\xa0

저마다의 사정이 있겠지만 오랜 세월 동안 더 많이 함께 한 희로애락을 소중히 여긴다면 달리 생각할 수 있다. 새도 나무도 떨어지지 않으려는데 조금만 더 상대를 이해하고 입장을 바꿔서도 생각해 볼 일이다. / 제공 : 안병화(전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