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말 나들이
■ 우리말 나들이
1. 용 되다
‘용’은 상상 속의 동물이다. 몸은 거대한 뱀처럼 생겼지만 온몸에 비늘이 있고 발도 있다. 머리에 난 뿔은 사슴뿔 같고, 귀는 소처럼 생겼다. 용은 깊은 못이나 호수, 바다 속에 살면서 때때로 하늘에 올라가 바람과 구름을 일으키므로 용은 발로 여의주를 꽉 잡고 있는 형상으로 구름과 함께 그려 진 그림이 많다. 중국의 황허 강 상류에 용문이라는 협곡이 있는데, 이곳에는 물살이 센 폭포가 있다. 잉어가 이 용문의 거센 물살을 거슬러 뛰어오르면 용이 된다고 하는 전설이 있는데, 워낙 험해서 웬만해서는 성공할 수 없었다. 그래서 어려움을 견디고 성공하여 크게 출세하는 것을 용이 되는 것에 비유하게 된다.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여 뛰어난 사람이 되는 것을 ‘등용문(登龍門)’이라고 한다. 용이 되었다는 뜻이 된다. 이 말은 주로 과거에 급제한다는 뜻으로 쓰였는데, 옛날에는 과거 급제가 큰 출세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특히 ‘미꾸라지 용 됐다’는 말은 변변하지 못하던 사람이 아주 훌륭하게 성장하여 놀라움을 표현할 때 주로 쓰인다.
2. 군불과 군것질
‘쓸데없는’의 뜻을 가지고 있는 접두사 ‘군’은 여러 단어에 붙여 쓰이고 있다. ‘군말’은 쓸데없는 말, ‘군살’은 불필요한 살, ‘군침’은 흘려봐야 소용없는 침, ‘군식구’는 없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은 식구를 뜻한다. ‘군것질’은 쓸데없는 먹을 것 또는 본래 먹을 것 말고 덧붙여 먹는 것을 뜻한다. ‘군것질’의 ‘질’은 부정적인 행동을 나타내기도 하고 약간 비하의 의도가 담겨있다. 즉, ‘군것질’은 먹지 말라는 것, 먹지 말아야 할 것을 먹는 행위가 된다. 하지만, ‘군불’에서의 쓰임은 좀 다르다. 새벽녘 온돌의 온기가 식을 무렵 잠을 이기며 깨서 다시 장작을 넣어 따뜻하게 지피는 불이니 ‘쓸데없다’ 기 보다는 처음에 지폈던 불에 ‘더하다’ ‘보태다’ 의 의미가 더 크다.
3. 개떡같다
먹을 것이 지금처럼 풍족하지 않았던 시절에 해먹던 음식 중에 ‘개떡’이라는 게 있다. 개떡은 밀가루를 곱게 채치고 남은 찌꺼기나 메밀 속껍질로 만들었다. 밀가루나 메밀가루도 아니고, 그것을 고르고 난 거친 가루로 만든 것이니 모양이인들 정성 들여 예쁘게 만들 리 없다. 가루로 반죽을 만든 다음 그 반죽을 편평하고 둥글넓적하게 대충 만들어서 쪘는데, 생김새만 못생긴 것이 아니라 맛도 별로 없었다. 배가 고파서 어쩔 수 없이 먹는 것이다. 그래서 못생기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을 ‘개떡 같다’고 하는 것이다. 이 음식을 왜 개떡이라고 불렀는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추측이 있다. 하나는 겨로 만든 떡이라서 ‘겨떡’이라고 하다가 차츰 소리가 변해서 ‘개떡’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변변치 못하다는 뜻을 가진 접두사 ‘개-’가 붙었다는 설(說)도 있다.
♣ 제공 : KIMSEM의 ‘역사로 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