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장구직입ㅣ長驅直入

장구직입ㅣ長驅直入

장구직입ㅣ長驅直入

○ 말을 몰고 거침없이 쳐들어가다.

○ 長(길 장) 驅(몰 구) 直(곧을 직) 入(들 입)

먼 길을 말을 몰아(長驅) 곧바로 적의 진지에 돌입한다(直入)는 이 성어는 기세가 하늘을 찌를 듯 맹렬하게 쳐들어가거나, 하는 일마다 乘勝長驅(승승장구)하는 것을 일컫는다. 그런데 이 말이 후세에 신격화할 정도로 연전연승했던 劉備(유비)의 장수 關羽(관우)가 패배한 일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이채롭다.

유비가 서쪽에서 蜀漢(촉한)을 세우자 세 나라가 정립하는 삼국시대가 되었다. 曹操(조조)와 孫權(손권)이 연합하여 관우가 지키고 있던 荊州(형주, 荊은 가시 형)를 공격하려 하자 군사 諸葛亮(제갈량)은 먼저 襄陽(양양)을 지키던 趙仁(조인)을 치게 했다. 관우는 손쉽게 양양을 차지한 데 이어 구원군으로 온 조조의 군대도 물리쳤다. 다급해진 조조는 대장 徐晃(서황, 晃은 밝을 황)을 보내 樊城(번성, 樊은 울타리 번)을 구하도록 했다. 서황은 번성과 연락을 취하며 차근차근 촉군의 퇴로를 막는 한편 관우의 주력부대가 있는 두 곳 중 한쪽에 가짜 병사를 보내 교란시키고 다른 곳을 총공격했다.

"

천하의 관우도 계략에 말린 것을 알았을 때는 이미 늦어 서황의 군대가 물밀 듯이 밀려오자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서황의 승전보를 듣고 조조는 즉각 공을 치하하는 전문을 보냈다. 내가 용병한지 30년이 되었고 또 옛날 장수들의 용병도 들어보았으나 장군처럼 멀리 말을 몰아 적군의 포위망 속으로 돌입한 사람은 일찍이 없었소. 이 이야기는 三國志(삼국지) 魏書(위서) 서황전에 실려 있다.

"

나 늙으면 당신과 살아보고 싶어 / 황정순

나 늙으면 당신과 살아보고 싶어 / 황정순

나 늙으면 당신과 살아보고 싶어 / 황정순

나 늙으면 당신과 살아보고 싶어

가능 하다면 꽃밭이 있고

가까운 거리에 숲이 있으면 좋겠어

개울물 소리 졸졸거리면 더 좋을거야

잠 없는 나 당신 간지럽혀 깨워

아직 안개 걷히지 않은 아침 길

풀섶에 달린 이슬 담을 병들고 산책해야지

삐걱거리는 허리 주욱 펴 보이며

내가 당신 하나 두울~ 체조시킬거야

햇살이 조금 퍼지기 시작하겠지

우리의 가는 머리카락이 은빛으로 반짝일 때

나는 당신의 이마에 오래 입맞춤하고 싶어

사람들이 봐도 하나도 부끄럽지 않아

아주 부드러운 죽으로

우리의 아침 식사를 준비할 거야

이를테면 쇠고기 꼭꼭 다져놓고

파릇한 야채 띄워 야채죽으로 하지

깔깔한 입안이 솜사탕 문 듯 할거야

이 때 나직이 모짜르트를 올려 놓아야지

아주 연한 헤즐렛을 내리고

꽃무늬 박힌 찻잔 두 개에 가득 담아

이제 잉크 냄새 나는 신문을 볼 거야

코에 걸린 안경 너머 당신의 눈빛을 읽겠지

해가 높이 오르고

창 깊숙이 들던 햇빛 물러설 즈음

당신의 무릎을 베고 오래오래 낮잠도 자야지

아이처럼 자장가도 부탁해 볼까

눈을 감고 다가가야지

서툴지 않게 당신 코와 맞닿을 수 있어

강아지처럼 부벼 볼거야

그래 보고 싶었거든

어쩌면 그 때는 창밖의 많은 것들

세상의 분주한 것들

우리를 닮아 아주 조용하고 아주 평화로울거야

나 늙으면 당신과 살아보고 싶어

당신의 굽은 등에 기대 울고 싶어

장작불 같던 가슴 그 불씨

사그러들게 하느라 참 힘들었노라

이별이 무서워 사랑한다 말하지 못했노라

그 때 나

왜 그렇게 어리석었을까 말할 거야

겨울엔

당신의 마른 가슴 덥힐 스웨터를 뜰 거야

백화점에 가서 잿빛 모자 두개 사서 하나씩 쓰고

강변 찻집으로 나가 볼 거야

눈이 내릴까

봄엔 당신 연베이지빛 점퍼 입고

나 목에 겨자빛 실크 스카프 메고

이른 아침 조조 영화를 보러 갈까

감미로운 드라마 같은영화

가을엔 희끗한 머리 곱게 빗고

헤이즐럿 보온병에 담아 들고

낙엽 밟으러 가야지

젊었을땐 하지 못했던 사진 한번 찍을까

예쁜액자에 넣어 창가에 놓아두어야지

그리고 그리고 서점엘 가는 거야

책을 한아름 사서 들고 서재로 가는 거야

그렇게 아름답게 늙어가고 싶어

나 늙으면 그렇게 그렇게

당신과 살아보고 싶어

♨ 좋은 글 더보기 : iusan.com

욕개미창ㅣ欲蓋彌彰

욕개미창ㅣ欲蓋彌彰

욕개미창ㅣ欲蓋彌彰

○ 덮으려 하다가 더욱 드러나다.

○ 欲(하고자 할 욕) 蓋(덮을 개) 彌(미륵 미) 彰(드러날 창)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린다고 해서 하늘이 다 가려질 수 없다. 잘못을 알려지지 않게 덮으려고(欲蓋) 한 일이 도리어 더 드러나게 되는(彌彰) 것을 가리킬 때 이 말을 쓴다. 봄철 산란기 때 꿩이 숲속에 몰래 알을 낳으려다 스스로 울어 사냥꾼에 잡히는 어리석음이나 개구리가 시끄럽게 울어 뱀의 먹이가 되는 것과 같다. 欲蓋彌章(욕개미장)으로도 쓴다. 미륵 彌(미)는 더욱이란 뜻이 있다. 하나의 잎사귀가 눈을 가린다는 一葉蔽目(일엽폐목)이란 말과 비슷할 것 같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에 빠져 전체적인 것을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차이가 있다.

孔子(공자)가 엮은 사서 春秋(춘추)는 단순한 역사적 사실만을 전달하지 않고 명분에 따라 준엄하게 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어떤 사실에 대해 평론하거나 힐책하거나 찬양하는 데에도 원칙에 의해 간결한 문체로 기록하여 春秋筆法(춘추필법)이란 말까지 생겼다.

魯(노)나라 昭公(소공) 때의 일이다. 周(주)나라의 대부 黑肱(흑굉, 肱은 팔뚝 굉)이란 사람이 항복해오자 다스리던 영지 濫(남)도 노나라 땅이 되었다. 공자는 ‘겨울, 흑굉이 남 지역을 갖고 들어옴’이라고 간단히 기록했다. 춘추의 원칙에서 본다면 신분이 높지 않은 흑굉은 굳이 밝힐 필요가 없었다. 그런데도 이렇게 한 까닭을 左丘明(좌구명)이 ‘春秋左氏傳(춘추좌씨전)’에서 해석한다.

‘흑굉은 낮은 자이지만 땅을 갖고 적국에 항복했기 때문에 영토의 변경을 가져왔다. 이름을 기록한 것은 불의한 일을 없어지지 않게 하려는 의미다. 군자는 행동에 예의와 의리를 잊지 말아야 한다. 어떤 사람은 이름나기를 바라지만 얻지 못하고, 어떤 사람은 악명을 감추려 해도 안 되는 법이다(或求名而不得 或欲蓋而名章/ 혹구명이부득 혹욕개이명장).’

계견승천ㅣ鷄犬昇天

계견승천ㅣ鷄犬昇天

계견승천ㅣ鷄犬昇天

○ 닭과 개도 하늘로 오르다, 빌붙어 승진하다.

○ 鷄(닭 계) 犬(개 견) 昇(오를 승) 天(하늘 천)

집안 가운데서 한 사람이 높은 자리에 올라 떵떵거리게 되면 가까운 식구는 물론 친척들도 줄을 잡아 뒤따라 출세한다. 능력이 되지 않는데도 우격다짐으로 자리를 차지하거나 권세에 빌붙어 승진하는 것도 모두 개나 소나 하늘로 오르는 일이다.

晉(진)나라 葛洪(갈홍)의 ‘神仙傳(신선전)’에 실린 淮南王(회남왕) 劉安(유안)에 대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유안은 八公(팔공)이란 신선으로부터 불로장생의 仙丹(선단)을 만드는 기술을 전수받았다.

오랜 고생 끝에 이 기술을 연마하여 선단을 먹고는 하늘로 올라갔다. 골육지친 300명도 같은 날 승천했고 심지어 약그릇에 남은 약을 핥아먹은 닭과 개들도 역시 하늘로 날아갔다(鷄犬舔藥器者 亦同飛去/ 계견첨약기자 역동비거). 舔은 핥을 첨. 漢高祖(한고조) 劉邦(유방)의 손자인 유안은 문학애호가로 많은 빈객들과 함께 저술한 淮南子(회남자)가 유명하다. 그런데 武帝(무제) 때 반역을 기도했다가 실패하여 자살한 유안을 후세 사람이 미화했는지 하늘로 올라가 신선이 되었다는 황당한 이야기가 王充(왕충)의 ‘論衡(논형)’ 등 곳곳에 기록되어 있다.

중국의 하천지 ‘水經注(수경주)’란 책에도 어떤 사람이 단약을 먹고 닭과 개와 함께 승천하여 ‘닭은 하늘에서 울고 개는 구름 속에서 짖는다(鷄鳴天上 狗吠雲中/ 계명천상 구폐운중)’는 구절이 나온다.

노생지몽ㅣ盧生之夢

노생지몽ㅣ盧生之夢

노생지몽ㅣ盧生之夢

○ 노생의 꿈, 한바탕 꿈처럼 덧없음

○ 盧(성씨 노) 生(날 생) (之 갈 지) 夢(꿈 몽)

노생(盧生)의 꿈이라는 뜻으로, ①인생(人生)의 영고성쇠(榮枯盛衰)는 한바탕 꿈처럼 덧없다는 뜻 ②한때의 헛된 부귀영화(富貴榮華)

노생(盧生)이 한단(邯鄲)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온갖 부귀영화(富貴榮華)를 한평생 동안 누리는 꿈을 꾸고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由來)함. 한때의 헛된 부귀 영화, 노생이 꾼 꿈이란 말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한단지몽(邯鄲之步)과 같은 말

노생은 당나라 때 인물인데, 여옹이란 도사를 만나 인생의 고통에 대해 푸념을 늘어놓았습니다. 그러자 여옹은 도자기 베개 하나를 주며 잠을 권하였고, 잠이 든 노생은 베개에 뚫린 구멍 속으로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고 예쁜 여성과 혼인도 하며 재상에도 올랐다가 다시 좌절을 맞보고 결국 여든 나이에 죽고 맙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꿈이었음을 깨닫고는 인생의 고통과 부귀에 대한 집착을 모두 버리고 참된 삶을 살았답니다.

복차지계ㅣ覆車之戒

복차지계ㅣ覆車之戒

복차지계ㅣ覆車之戒

○ 앞사람을 거울 삼아 뒷사람은 실패하지 말라

○ 覆(엎어질 복) 車(수레 차) 之(어조사 지) 戒(경계할 계)

앞의 수레가 넘어져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뒷 수레는 미리 경계하여 엎어지지 않도록 한다.

前漢(전한) 초기의 名臣(명신) 賈誼(가의)는 대단한 수재로 어려서부터 소문이 자자했다. 하남 태수가 그를 눈 여겨 보다가 발탁했는데 소문을 들은 중앙의 文帝(문제)가 서울로 끌어들여 가의가 20세 때 박사가 되게 했고, 1년만에 太中大夫(태중대부)로 파격적인 승진을 시켰다.

문제는 고조 劉邦(유방)의 서자이자 제2대 혜제의 동생으로 諸候(제후)로 있다가 황실 內紛(내분)의 와중에서 帝位(제위)에 올랐기 때문에 세력 있는 제후 중에는 문제를 가볍게 여기는 자도 있었다. 이를 의식한 문제는 젊은 가의에게 중책을 맡겨 국정을 쇄신코자 했다.

가의는 문제의 뜻에 따라 정치를 바로잡기 위해 많은 건의를 했는데 그 중에 이런 대목도 있다. "앞 수레의 엎어진 바퀴 자국은 뒷 수레에 교훈이 된다(前車覆後車戒·전차복후차계=覆車之戒)는 말이 있습니다. 저 옛날의 夏(하) 殷(은) 周(주)시대를 되돌아 보면 왜 잘 다스려졌던가를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이 옛날의 교훈에서 배우지 못한다면 聖人(성인)의 가르침을 어기는 것과 같아서 오래 영화를 누리지 못할 것입니다.

秦(진)나라가 일찍 망한 것을 우리는 눈 앞에 보았습니다. 진나라가 망한 까닭은 진나라가 펴온 정책으로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어리석음을 피하지 않으면 앞날이 암담합니다. 그러므로 앞 수레의 엎어짐을 보고 국가의 큰 계획을 세우고 대책을 세움이 마땅합니다."

이런 말을 귀담아 듣고 나라를 다스린 문제는 중국 역사상 名皇帝(명황제)의 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다.

금상첨화ㅣ錦上添花

금상첨화ㅣ錦上添花

금상첨화ㅣ錦上添花

○ 비단 위에 꽃을 더한, 좋은 것 위에 더욱 좋은 것을 더한다

○ 錦(비단 금) 上(윗 상) 添(더할 첨) 花(꽃 화)

비단(緋緞)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좋은 일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이르는 말

북송(北宋) 때,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왕안석(王安石)이 만년(晩年)에 남경에서 은둔할 때 지은 시「즉사(卽事)」에 나오는 구절이다.

강물은 남원(南苑)으로 흘러 서쪽 언덕으로 기울고 바람에 영롱한 이슬 아름답구나. 문 앞 버드나무는 옛사람 도잠(陶潛)의 집이고, 우물가 오동나무는 옛 총지(總持)의 집이라. 아름다운 촛대 술잔 속 맑은 술 따라 마시고, 즐거운 노랫가락 비단 위에 꽃을 더하네. 무릉도원(武陵桃源)에서 대접(待接)받으니 천원의 붉은 노을 아직도 많구나.

천국 언어를 사용하라

천국 언어를 사용하라

천국 언어를 사용하라

우리가 쓰는 언어에는

천국 언어와 지옥언어가 있습니다.

사람을 항상 행복하게 하는

천국의 언어를 사용하십시오.

천국 언어

운이 좋다.

기쁘다, 즐겁다.

감사합니다.

행복.

고맙습니다.

용서합니다.

이런 단어들은 사용하면

할수록 더욱 더 사용하고

싶어지고 행복한 일이 많이 생긴다.

지옥 언어

운이 없다.

화난다, 우울하다.

섭섭하다.

욕, 불평불만.

걱정거리, 하소연.

용서할 수 없다.

이런 단어들을 사용하면

다시 한 번 이런 단어들을

사용해야 하는, 짜증나는 일들이 반복해서 일어난다.

-4일간의 부자수업 중에서-

단점과 장점

단점과 장점

단점과 장점

영국의 한 초등학교에서 문제의 8살 여자 아이가 있었습니다.

한시도 가만있지 못하는 그 아이는 1학년 초부터 선생님의 골머리를 아프게 했습니다. 떠드는 건 예사고 숙제를 해오지 않을뿐더러 성적은 늘 꼴찌였습니다.

그 아이는 소위 ADHD가 심한 아이였습니다. 담임 선생님은 몇 번이고 야단을 치고 얼러 보았지만 소용이 없었습니다.

급기야 부모님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이 아이를 더 이상 가르칠 수 없으니 특수학교에 보내라는 내용이었습니다.

편지를 받은 부모님은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습니다. 다음 날 아이를 곱게 차려입게 하고는 어디론가 데리고 갔습니다. 아이는 혹시 자기를 특수학교에 보내지 않을까 더럭 겁이 났습니다.

어느 건물로 간 아이는 어떤 남자로부터 소파에 조용히 앉아있으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리곤 한참 있다 어머니와 아저씨는 할 얘기가 있다고 나갔다 올 테니 얌전히 있으라고 말했습니다.

그 남자는 아름다운 음악이 흘러나오는 라디오를 틀어 놓았습니다. 그리고는 밖에 나온 어머니에게 조그마한 구멍으로 아이를 보게 했습니다.

그때 놀라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음악에 맞춰 너무나도 춤을 잘 추는 게 아닙니까!

그 남자 상담사는 말했습니다.

“이 아이는 춤에 재능이 있는 아이입니다. 가만히 앉아있게 한 것이 도리어 이 아이에게는 고통입니다.”

어머니는 감격해서 눈물을 흘렸습니다.

어머니는 아이를 데리고 댄스 연습실에 갔습니다. 처음 들어간 연습실은 모두들 몸을 움직이지 않으면 좀이 쑤셔서 못 견디는 사람들처럼 자기와 똑같은 사람들만 모여 있는 것 같았습니다.

너무도 재미있어 학교에서도, 집에서도 매일 춤을 추었습니다. 이른 아침 일찍 일어나 연습하는 게 행복했습니다. 이제 아이를 ADHD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그녀가 바로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발레리나이자 안무가인 “질리언 린(Gilian Lynne)”입니다. 그녀에 의해서 “캣츠”, ”오페라의 유령” 등과 같은 멋진 작품들이 만들어졌습니다.

스티브 잡스도 ADHD였습니다. 빌게이츠도 휴학을 하며 심리 치료를 받았습니다. 소심한 성격과 여자 앞에만 서면 부자연스러워지는 워린 버핏도 언어 치료를 받았습니다.

단점만 보면 모두 문제아로 전락 될 뻔한 사람들이지만 장점만 보며 그 장점을 잘 부각시켜 인생을 대성공으로 이끈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점을 볼까요.

-스토리 메이커 박성목-

보고 싶다는 말

보고 싶다는 말

보고 싶다는 말

보고 싶다는 말은

사랑한다는 말보다

더 진한 눈물겨움.

뭉쿨 함으로 다가오는

아련한 그리움

그 안에 나를 띄어

당신에게 향하는 간절함.

보고 싶다는 말은

한 줄기 햇살처럼

따스함 되어 흐르는

내 마음의 평화.

기쁨 안에 가득 한

당신 모습 떠올리며

살며시 미소 짓게 하는

내 마음의 희망.

보고 싶다는 말은

영원히 간직 하고픈

내 마음의 별빛 연가

밀물과 썰물처럼

함께 하지 못해도

서로의 가슴에서

빛이 되는 그리움

-서현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