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30일 토요일

율래서우聿來胥宇 - 함께 와 살 곳을 살피다, 사이좋게 지내다.

율래서우聿來胥宇 - 함께 와 살 곳을 살피다, 사이좋게 지내다.

율래서우(聿來胥宇) - 함께 와 살 곳을 살피다, 사이좋게 지내다.

붓 율(聿/0) 올 래(人/6) 서로 서(肉/5) 집 우(宀/3)

\xa0

오른손에 붓을 잡고 있는 모양을 본뜬 붓 聿(율)이란 글자는 만드는 원료인 대竹/ 죽가 들어가 筆(필)로 대체됐다. 이후 붓이란 뜻보다 마침내, 스스로, 함께 등 여러 의미를 갖게 되는데 기본 부수라도 쓰임새는 적다. 조상의 덕을 이어받아 닦는다는 聿修(율수) 정도가 표준사전에 올랐고, 엄숙할 肅(숙), 방자할 肆(사), 비롯할 肇(조) 등이 부수에 들어 있다.

\xa0

당연히 포함된 성어도 孟子(맹자)에 함께 와서(聿來) 집터를 서로 살펴봤다(胥宇)는 詩經(시경)의 구절을 인용하며 언급한 외에는 드물다. 중국 고대 周(주)나라의 토대를 세운 文王(문왕)의 조부 古公亶父(고공단보)의 이야기에서 유래했다.

\xa0

먼저 가장 오래된 시가집 ‘시경’의 大雅(대아)에 있는 ‘오이덩굴緜/ 면‘편부터 보자. 햇솜 緜(면)은 솜 綿(면)의 본자로, 이 편은 고공단보를 말하는 太王(태왕)으로부터 주나라 건국까지 연면히 이어진 천명을 노래했다고 한다. 처음 백성들이 생활한 沮漆(저칠)의 강가에서 동굴로 옮길 때까지 집이 없었다며 계속된다.’

\xa0

고공단보가 아침 일찍 말을 달려(古公亶父 來朝走馬/ 고공단보 내조주마), 서쪽 물가를 따라 기산 아래에 이르시니(率西水滸 至于岐下/ 솔서수호 지우기하), 여기서 강녀와 함께 집터를 살피셨네(爰及姜女 聿來胥宇/ 원급강녀 율래서우).‘ 姜女(강녀)는 태왕비 太姜(태강)인데 여기서 터전을 잡아 주나라 기원이 됐다는 이야기다.

\xa0

시경의 구절이 인용된 ‘맹자’의 梁惠王(양혜왕) 편에는 齊(제)나라 宣王(선왕)과의 대화에 나온다. 당시 제후들은 국가의 권력을 장악하여 부국강병을 추진했고, 맹자는 어진 정치를 행해야 백성들이 편하게 생활할 수 있다고 주장하여 간극이 컸다.

\xa0

선왕이 仁政(인정)을 실천하려니 단점이 있다며 ‘과인은 나쁜 버릇이 있으니 여색을 좋아하는 것입니다(寡人有疾 寡人好色/ 과인유질 과인호색)’라 말해도 맹자는 꿋꿋하다. ‘옛날 태왕도 색을 좋아해 왕비를 사랑했습니다(昔者大王好色 愛厥妃/ 석자태왕호색 애궐비)’ 하며 시경의 위 구절을 든다. 여기서 大는 클 태, 궐비는 물론 왕비 태강이다.

\xa0

여러 여자를 사랑한다는 好色(호색)을 선왕이 말했는데 맹자는 태왕을 들며 좋게 해석한다. 당시에는 결혼을 못한 노처녀와 노총각이 없이 모두 배필이 있었으므로 왕이 여색을 좋아하더라도 백성과 함께 천륜을 즐기는 것이니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한 것이다.

\xa0

방탕한 호색이 아닌 건전한 남녀 간의 사랑을 말했다. 태왕의 호색을 좋은 의미로 본 맹자에 따라 왕비와 함께 사는 곳을 둘러봤다는 이 성어는 새살림을 차리거나 사이좋게 지내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확장됐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