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3일 일요일

약육강식弱肉强食 - 약한 자는 강자에게 먹힌다.

약육강식弱肉强食 - 약한 자는 강자에게 먹힌다.

약육강식(弱肉强食) - 약한 자는 강자에게 먹힌다.

약할 약(弓/7) 고기 육(肉/0) 강할 강(弓/9) 밥 식(食/0)

약한 자의 고기(弱肉)는 강한 자의 먹이(强食)다. 약자가 강자에게 먹힌다는 살벌한 말이다. 강한 자가 약한 자를 희생시켜서 번영하거나, 강자에 의해 약자가 끝내는 멸망함을 이른다. 그렇다면 지구상에서 가장 셌던 공룡이 살아남고 미물들은 멸종되었어야 하는데 이치가 꼭 그렇지는 않다.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잘 적응한 생물이 생명을 유지했다.

진화론의 다윈(Charles Darwin)이 아닌 스펜서(Herbert Spencer)가 명명했다고 하는 適者生存(적자생존)이다. 약자가 자기를 지켜 나가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진화시켜 개체를 보존하는 것이다. 작은 나라나 민족의 興亡盛衰(흥망성쇠)도 마찬가지다.

약자와 강자의 아주 쉬운 글자로 된 이 성어는 ‘莊子(장자)’에서 같은 글자는 아니지만 비슷한 의미로 먼저 등장한다. 천하의 도적 盜跖(도척, 跖은 발바닥 척)이 설득하러 온 孔子(공자)에게 호통 치는 대목에서다. 黃帝(황제) 이후 堯舜(요순) 때는 많은 신하를 기용하여 평화로웠지만 그 이후가 문제라면서 말한다. ‘탕왕은 자신이 모시던 주군을 내쫓았고 무왕은 주를 죽였다. 이때부터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짓밟고 다수자가 소수자를 괴롭혔다. 湯王(탕왕)과 武王(무왕)이 폭군 桀紂(걸주)를 내쫓은 것도 잘못이라고 억지 부린다.

唐(당)나라 때의 문장가 韓愈(한유, 768~824)의 시문집 ‘韓昌黎集(한창려집)’에는 글자대로 나온다. 친구 柳宗元(유종원)의 요청으로 유명한 스님 文暢(문창)에게 쓴 글이라 한다. 새들이 모이를 쪼다가 사방을 둘러보고 짐승들이 숨어 있다가 가끔씩 나오는 것은 자기를 해칠까 두렵기 때문이라면서 이어진다. ‘그런데도 거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약한 자의 고기를 강한 자가 먹고 있는 것이다(猶且不脫焉 弱之肉 強之食/ 유차불탈언 약지육 강지식).’ 불교를 배척하는 한유는 승려가 유교를 흠모하면서도 불법에 얽매여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강한 자들이 살아남는다고 해서 약자들은 그냥 죽을 수만은 없다. 天敵(천적)이란 것이 있고 ‘약질이 살인낸다’는 속담도 있다. 약자가 엄청나게 큰일을 이룰 수도 있다. 사회적 동물인 사람은 더욱 권력이 있다고, 재력이 넘친다고 횡포를 부리다간 언젠가는 뒤집어진다. 약자를 위해 조화롭게 잘 적응하는 것이 오래 생존하는 길이다.

아사리판阿闍梨判 - 질서 없이 어지러운 상태

아사리판阿闍梨判 - 질서 없이 어지러운 상태

아사리판(阿闍梨判) - 질서 없이 어지러운 상태

언덕 아(阝/5) 사리 사(門/9) 배 리(木/7) 판단할 판(刂/5)

질서가 없고 제 주장만 난무하는 어지러운 상태를 가리키는 말은 많다. 먼저 속된 표현으로 개판을 가장 많이 쓴다. 상태, 행동 따위가 사리에 어긋나 온당치 못하거나 무질서하고 난잡한 것을 이른다. 명분이 서지 않는 일로 몰골사납게 싸우는 泥田鬪狗(이전투구)는 처음 강인한 함경도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옛날 과거를 보는 마당에서 선비들이 질서 없이 들끓어 뒤죽박죽이 된 亂場(난장)에서 온 난장판도 있다. 이렇게 드러난 말뜻도 알 수 있고 유래도 뚜렷한 말과 달리 아사리판은 사전에도 올라 있지 않은 말이면서도 일상에서 흔히 쓰인다.

"

어원이라며 주장하는 몇 가지 중에서 우리말에서 왔다는 것을 먼저 보자. 빼앗거나 가로채다는 ‘앗다’의 줄기 앗-‘에서 매김꼴씨긑 을이 붙고 그 아래 사람을 나타내는 이가 붙어 앗을이가 변해서 됐다는데 빼앗을 사람과 빼앗길 사람이 한데 어울려 무법천지가 된 것을 비유했단다. 일본말 아사리(あさり, 浅蜊/ 천리)라는 조개에서 어원을 찾는 것은 담긴 그릇이 흔들릴 때 사그락 사그락 소리가 난다는 데서 나왔다는 것이다. 蜊는 참조개 리.

",

이런 주장보다 더 솔깃해지는 것이 불교에서 왔다는 이야기다. 수행을 중시하는 小乘佛敎(소승불교) 종단에서 교육을 담당할 만큼 덕이 높은 스승, 또는 도가 높은 승려를 말하는 阿闍梨(아사리)에서 유래했다고 밝힌다. 아사리를 한역할 때 阿牀利(아상리), 혹은 阿遮利夜(아차리야)라고도 한단다. 사리 闍(사)는 ‘담 도’로도 읽힌다.

불교에서 나온 말 중에서 원 뜻과는 많이 변한 말이 상당히 많다. 학승과 사무를 맡은 승려 理判事判(이판사판)이 막다른 데 이르러 어찌할 수 없게 된 지경을 말하거나 싸우기를 좋아하는 악신의 이름인 阿修羅(아수라)가 난장판인 아수라장이 된 것 등이다. 덕이 높은 스승 아사리가 많으면 다양하고 깊은 의견들이 개진되고 토론하는 시간도 길어질 것이다. 이 모습이 소란스럽고 무질서해 보인 데서 질서 없이 어지러운 현장을 말하게 된 것으로 변했다고 보는 것이다.

언청계용言聽計用 - 모든 말을 듣고 계책을 받아들이다.

언청계용言聽計用 - 모든 말을 듣고 계책을 받아들이다.

언청계용(言聽計用) - 모든 말을 듣고 계책을 받아들이다.

말씀 언(言/0) 들을 청(耳/16) 셀 계(言/2) 쓸 용(用/0)

모든 인간관계에서 믿음이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신뢰는 강제에 의해 이뤄지지 않는다. 孔子(공자)도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신뢰라 했다. 개인 뿐 아니라 조직의 상하관계에서 신뢰가 있으면 능력이 배가된다. 위에서 아래로 믿을 뿐만 아니라 아래에서 위로 올린 계획도 믿고 처리한다면 의욕이 충만할 것이다. 어떤 일을 처리할 때 한 사람이 내놓은 의견을 받아들이고(言聽) 그대로 실행한다(計用)는 이 성어가 이러한 경우를 가리킨다.

이 말은 司馬遷(사마천)의 ‘史記(사기)’에서 韓信(한신)이 한 말로 淮陰侯(회음후) 열전에 나온다. 그는 처음 천하통일한 秦(진)나라가 쇠약해졌을 때 項羽(항우)에 맞선 劉邦(유방)을 도와 漢(한)나라를 세우는데 큰 공을 세웠다. 한신은 어렸을 때 매우 가난하여 빨래하는 아낙에게서 밥을 얻어먹기도 하고(漂母飯信/ 표모반신), 그 은혜를 갚은(一飯之恩/ 일반지은) 고사가 따른다. 항상 칼을 차고 다니다 불량배 가랑이 밑을 기어간 跨下之辱(과하지욕)도 한신의 인내심에서 비롯됐다.

이런 한신이 처음에는 항우의 밑에 말단으로 있었다. 유방의 책사 蕭何(소하)가 한신의 능력을 알아보고 유방에게 천거해 대장군이 되었다. 이후 유방의 부하를 이끌고 연승을 거두자 그 능력에 감탄한 항우가 사람을 보내 독립하라고 회유했다. 한신은 漢王(한왕)이 자신에게 대장군 직위를 주고 수만 병력을 통솔하도록 해 주었다면서 거절한다. 그러면서 유방의 은혜를 나열한다. ‘자기의 옷을 벗어 나에게 입히고, 자신의 음식을 대접했으며 나의 건의를 듣고 나의 계책을 써 주기까지 했소(解衣衣我 推食食我 言聽計用/ 해의의아 추식식아 언청계용).’ 여기서 은혜를 베풀고 사람을 중용한다는 解衣推食(해의추식)이 나왔다.

이렇게 의리를 지킨 한신도 나중에는 兎死狗烹(토사구팽) 당하고 만다. 유방에게 배신당한 것이다. 통일을 이루고 황제에 오른 뒤 배신하는 것도 믿음이 부족해서다. 사람을 한 번 믿으면 열린 마음으로 끝까지 흔들리지 않아야 위대한 리더가 될 수 있다. 아랫사람이 지도자를 선택할 때도 상황에 따라 오락가락한다면 그 조직이 업적을 낼 수 없는 것은 물론이다.

班 bān

班 bān

班 bān

1. 반 2. 근무 3. 분대 4. 옛날 극단을 일컫던 말

편언절옥片言折獄 - 한마디 말로 송사의 시비를 가리다.

편언절옥片言折獄 - 한마디 말로 송사의 시비를 가리다.

편언절옥(片言折獄) - 한마디 말로 송사의 시비를 가리다.

조각 편(片/0) 말씀 언(言/0) 꺾을 절(扌/4) 옥 옥(犬/11)

재판은 어렵다. 서로 옳다고 대립하는 양자의 주장이 모두 그럴듯하기 때문이다. 이런 것도 같고 저런 것도 같고 해서 한 쪽을 편들 수 없어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속담이 나왔겠다. 더하여 자기의 잘못을 발뺌하고 악의로 남을 덮어씌운다면 잘잘못을 가리기가 더 어려워진다. 이럴 때 ‘송사는 졌어도 판결은 잘 하더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솔로몬 왕의 현명한 판단이 절실하다.

한 마디 말(片言)만 듣고서 송사의 대립된 의견을 명쾌히 풀어준다(折獄)는 이 성어는 간혹 명판관이 존재했음을 말해준다. 보통 사람은 실행하기 어려운 난제를 이끄는 자가 앞장서 한두 마디 말로써 시원하게 해결하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片言可決(편언가결), 片言決獄(편언결옥)이라 써도 같은 뜻이다.

孔子(공자)의 제자 子路(자로)는 魯(노)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仲由(중유)이고 季路(계로)로도 불렸다. 성격이 강직하고 용맹했기에 스승으로부터 신임을 받았다. 자로가 성격이 거친 무뢰배 출신이었지만 공자의 훈계로 입문한 뒤 충성스럽고 신용이 있는 인물로 거듭났기 때문이다. 공자가 자로를 가리켜 몇 마디 말로써 공정한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인물이라 평한 것이 ‘論語(논어)’ 顔淵(안연)편에 실려 있다. 부분을 보자. ‘한 두 마디 말로 송사를 판결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도 유일 것이다. 자로는 승낙한 것을 묵혀두는 일이 없다

자로처럼 소송 당사자중 양 쪽의 한두 마디 말로 해결을 내릴 수 있으면 명판관이다. 하지만 예부터 형을 집행하려면 여러 고관들의 의견을 듣고 뭇 신하와 뭇 백성에게까지 묻는다고 했으니 잘못 판결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茶山(다산)은 ‘牧民心書(목민심서)’에서 ‘몇 마디 말로써 송사의 시비를 가려 마치 귀신처럼 판결을 내리는 자는 별다른 천재이니 평범한 사람으로서는 흉내 낼 바 못 된다(片言折獄 剖決如神者 別有天才 非凡人之所傚也/ 편언절옥 부결여신자 별유천재 비범인지소효야)’고 충고한다. 刑典(형전) 聽訟(청송)조에 나온다. 剖는 쪼갤 부, 傚는 본받을 효.

공자가 자로처럼 잘 판결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앞서야 할 것은 송사가 없게 하는 일이라 했다.

괄골요독刮骨療毒 - 뼈를 긁어 독을 치료하다, 비장한 각오로 문제를 해결하다.

괄골요독刮骨療毒 - 뼈를 긁어 독을 치료하다, 비장한 각오로 문제를 해결하다.

괄골요독(刮骨療毒) - 뼈를 긁어 독을 치료하다, 비장한 각오로 문제를 해결하다.

긁을 괄(刂/6) 뼈 골(骨/0) 병고칠 료(疒/12) 독 독(毋/5)

흔히 잘못을 저지른 단체의 지도자들이 뼈를 깎는 각오로 일하겠다고 곧잘 듣는다. 이런 비장한 각오를 수도 없이 들어와 깎을 뼈도 없을 것이라고 비아냥대기도 한다. 나쁜 부분이나 요소들을 깨끗이 없애는 것이 剔抉(척결)이다. 剔은 뼈바를 척, 抉은 도려낼 결이니 여기에 들어맞는 말이다.

정치권에서 새로운 각오로 임한다며 肉斬骨斷(육참골단)이란 말을 많이 썼는데, 일본 사무라이의 성어라는 이 말도 살을 내주고 뼈를 끊는다는 무시무시한 뜻이 담겼다. 어느 것을 쓰더라도 남다른 각오로 임하겠다는 결의가 느껴진다.

살을 가르고 뼈를 깎아(刮骨) 독을 치료한다(療毒)는 이 말도 비장하다. ‘三國志演義(삼국지연의)‘의 영웅 關羽(관우)가 팔에 독화살을 맞고 점점 악화될 때 태연히 의원에게 치료한 데서 나왔다. 관우가 曹操(조조)군을 공격하다 매복한 궁수에 독화살을 맞아 오른팔이 금세 부어올랐다. 부하 장수들이 사방으로 의원을 구할 때 홀연히 명의 華佗(화타)가 나타난다.

상처를 살펴보던 화타가 조용한 곳에 기둥을 박고 고리로 팔을 단단히 묶은 다음 ’뾰족한 칼로 살을 째고 뼈를 드러내 뼛속에 스며든 화살독을 긁어내고(尖刀割開皮肉 直至於骨 刮去骨上箭毒/ 첨도할개피육 직지어골 괄거골상전독)‘ 약을 바른 뒤 꿰매야 무사할 것이라 했다.

이 말을 들은 관우는 번거롭게 할 필요 없이 바로 수술해 달라고 청한다. 화타에게 주안상을 대접하고 관우는 태연히 장수 馬良(마량)과 바둑을 두며 치료를 받는다. 부하에게 떨어지는 피를 그릇에 받게 하고, 뼈를 긁어대는 소리가 나자 모두 외면하는데도 관우는 평소와 다름없이 꼿꼿한 자세로 술을 마시며 바둑을 뒀다. 수술을 마친 화타는 관우의 비범한 용기에 감탄했다.

【무스카리】

【무스카리】

【무스카리】

개화기는 4~5월로 염색체수는 2n=18이다. 구근은 8~9월에 심어서 프레임 속에서 재배 출하하며, 수년 동안 심어둔 채로 두면 쉽게 번식한다.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화분에서는 밭흙과 부엽토, 모래를 5:3:2의 비율로 혼합하여 재배한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5~15℃의 온도에서 잘 자란다.

▷ 학명 : Muscari comosum

▷ 분류 : 백합과

▷ 분포지역 : 유럽, 북아프리카, 남서아시아

▷ 서식장소 : 높은 꼭대기

▷ 특징 : 히아신스의 근연종이다. 구근은 비늘줄기鱗莖로 작은 구형이다. 구근의 크기는 작은 것이 4~5cm, 큰 것은 10cm 정도 되는 것도 있다. 피막은 막질로 회갈색이다. 잎은 구근으로부터 7~10장이 선형으로 자라고 안쪽으로 골이 져 있다.

잎은 육질로 연약하고 선명한 회녹색을 띤다. 높이는 10~30cm로, 잎의 폭은 2.5cm 정도 된다.

꽃대의 길이는 10~30cm로 잎과 꽃대의 기부는 적갈색이며, 꽃대 끝에 남보라색의 꽃이 단지 모양으로 수십 개가 총상꽃차례로 아래로 늘어져 핀다. 임성화(稔性花)는 진한 청색.

◈ 수정난풀

◈ 수정난풀

◈ 수정난풀

수정난풀은 전국 산속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며 부생식물이다.

긴 줄기를 따라 끝에 1개씩 아래를 향해 달리고, 꽃받침 잎은 1~3개, 꽃잎은 3~5개이다. 열매는 8~9월에 익으며 둥근 모양으로 길이가 2.5㎝, 폭은 2㎝가량이며, 종자는 타원형으로 길이 0.5~1㎜, 폭 0.5~1㎜로 아주 작다.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 학명 : Monotropa uniflora L.

▷ 분류 : 노루발과

▷ 분포지역 : 제주·경기·평남·평북

▷ 서식장소 : 산지의 숲속

▷ 특징 : 이전 분류 체계에서는 노루발과로 분류했다. 한반도 각처 산지의 나무 그늘에 나며, 전체적으로 희고, 높이는 8-15cm 정도이다.

잎은 비늘 모양이며 어긋난다. 끝은 은백색으로 여름이 되면 줄기 끝에 1개씩이 피어나는데, 이때 각각의 꽃은 포엽에 싸여져 있다.

10개의 수술을 가지고 있으며, 수술대에는 털이 나 있다. 암술은 굵고 짧으며, 암술머리는 크게 부풀어 있는데 그 가장자리는 푸른 빛을 띠고 있다. 열매는 공 모양의 액과로 흰색을 띤다

2024년 3월 1일 금요일

◈ 갯버들

◈ 갯버들

◈ 갯버들

버들강아지, 버들개지로 더 많이 알고 있는 나무, 물가에 잘 자란다고 하여 붙여진 갯버들이 정명입니다.

꽃을 보면 왜 버들강아지라고 하는지 알 것입니다.

▷ 학명 : Salix gracilistyla

▷ 분류 : 버드나뭇과

▷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우수리강(江) 연안

▷ 서식장소 : 강가

▷ 특징 : 포류(蒲柳)·수양(水楊)·세주류(細柱柳)라고도 한다. 강가에서 많이 자란다. 높이 1∼2m이고 뿌리 근처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며 어린 가지는 노란 빛이 도는 녹색으로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잎은 거꾸로 세운 바소꼴 또는 넓은 바소꼴로 양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는 3∼10mm이다. 잎 표면은 털이 덮여 있다가 없어지고, 뒷면은 털이 빽빽이 나서 흰 빛이 돌거나 털이 없는 것도 있다.

꽃은 단성화로 4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어두운 자주색 꽃이 핀다. 수꽃이삭은 넓은 타원형으로 수술이 2개이고, 암꽃이삭은 긴 타원형으로 꿀샘이 1개이며 붉은색이다. 포는 긴 타원형으로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4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며 길이가 3mm 정도이고 털이 있다. 4∼5월에 덜 익은 열매를 그대로 식용한다. 제방의 방수림으로 적당하며 1∼2년생 가지는 꽃꽂이 소재로 사용된다. 내한성과 맹아력이 크며 오리나무·키버들 등과 함께 섞여 자란다. 한국·일본·중국·우수리강 연안 등지에 분포한다.

【너도바람꽃】

【너도바람꽃】

【너도바람꽃】

너도바람꽃은 우리나라 북부 이북과 지리산, 덕유산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산지의 반그늘에서 자란다. 키는 15㎝ 정도이며, 잎은 길이 약 3.5~4.5㎝, 폭 4~5㎝이고 깊게 3갈래로 나누어지며 양쪽 갈래는 깃 모양으로 다시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흰색으로 꽃자루 끝에 한 송이가 피며, 지름은 약 2㎝ 내외이다. 꽃이 필 때는 꽃자루에 꽃과 자주빛 잎만이 보이다 꽃이 질 때 쯤 녹색으로 바뀐다. 열매는 6~7월경에 달린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 학명 : Eranthis stellata Maxim.

▷ 분류 : 미나리아재빗과

▷ 분포지역 : 남부, 중부, 북부지방

▷ 서식장소 : 깊은 산골짜기 개울가 숲

▷ 특징 : 미나라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며 이른 봄 산지의 반그늘에서 자란다. 덩이줄기는 공 모양이고 수염뿌리가 많이 있다. 줄기는 연약하고 곧게 서며 높이는 15cm 정도이다. 뿌리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3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다. 줄기 끝에 있는 총포잎은 대가 없고 갈라진 조각은 고르지 못한 줄 모양이다.

4월에 포엽 가운데에서 길이 1cm 정도의 꽃대가 나와 곧게 서며 그 끝에 흰색 꽃이 한송이씩 달린다. 꽃의 지름은 2cm 정도이고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달걀 모양이다. 꽃잎은 2개로 갈라진 노란색 꿀샘으로 되어 있고 수술이 많다. 열매는 골돌과(利咨果)로 6월에 성숙하며 2~3개로 반달 모양이다. 종자는 갈색이고 둥글며 밋밋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