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3일 일요일

상저옥배象著玉杯 - 상아 젓가락과 옥 술잔, 하찮은 낭비가 사치로 이어짐

상저옥배象著玉杯 - 상아 젓가락과 옥 술잔, 하찮은 낭비가 사치로 이어짐

상저옥배(象著玉杯) - 상아 젓가락과 옥 술잔, 하찮은 낭비가 사치로 이어짐

코끼리 상(豕/5) 나타날 저(艹/9) 구슬 옥(玉/0) 잔 배(木/4)

‘산호 기둥에 호박 주추다’란 말이 있다. 귀한 珊瑚(산호)로 기둥을 세우고 보석 琥珀(호박)으로 주춧돌을 세웠으니 호화의 극치다. 아름다운 비단 옷에 흰 쌀밥, 요즘은 크게 사치는 아닌데도 錦衣玉食(금의옥식)도 호화생활을 뜻했다. 唐(당)의 杜牧(두목)이 阿房宮(아방궁)의 秦始皇(진시황) 생활을 묘사한 것이 있다. ‘귀중한 정이 가마솥 같고, 금은 흙덩이에 진주는 조약돌 취급(鼎鐺玉石 金塊珠礫/ 정쟁옥석 금괴주력)’했으니 굴러다니는 것이 보석이었다. 鐺은 솥 쟁, 礫은 조약돌 력.

상아로 만든 젓가락(象著)과 옥으로 만든 술잔(玉杯)도 옛날에는 사치품이었다. 이것을 태연히 만들게 하고 사용한 사람이 중국 商(상)나라 紂王(주왕, 紂는 주임금 주)이라면 그럴 듯하다. 앞서 夏(하)나라 桀王(걸왕)과 함께 桀紂(걸주)로 불리는 폭군의 대명사다. 妲己(달기, 妲은 여자이름 달)라는 요녀에 빠져 酒池肉林(주지육림)에서 질탕하게 향락을 즐겼고, 간하는 충신들에겐 숯불로 달군 구리기둥을 건너가게 한 炮烙之刑(포락지형)으로 죽였으니 악명으로 걸왕을 능가했다.

주왕이 상아로 젓가락을 만들게 하자 箕子(기자)가 걱정했다. 기자는 주왕의 숙부인데 학정에 남아나는 사람이 없는 중에 나라의 운명을 생각했다. ‘상아 젓가락을 쓰게 되면 토기를 버리고 무소뿔이나 옥으로 만든 그릇을 사용할 것이다. 다음은 거기에 맞게 진귀한 음식을 담으려 하고, 그 다음은 먹을 때의 복장, 그 다음은 호화스런 궁전을 생각할 것이다. 점차로 사치가 도를 넘을 것이기 때문에 상아 젓가락이 단초가 되어 국가의 재정을 고갈시키고 멸망에 이르게 된다고 생각했다. 과연 그 뒤 주왕의 사치와 포학이 지나쳐 나라는 망했다. ‘韓非子(한비자)’의 喩老(유로)편에 실려 있는 이야기다.

어려운 시기를 지나 조금 잘 살게 되면 지난 세월의 고생은 잊고 싶다. 그렇다고 물 쓰듯이 낭비에 집착하면 오래지 않아 옛날로 돌아간다. 상아 젓가락 하나를 보고 사치의 지름길임을 알아채는 지혜는 없더라도 작은 것의 의미는 생각하며 살아야겠다.

골경지신骨鯁之臣 - 직언하는 강직한 신하

골경지신骨鯁之臣 - 직언하는 강직한 신하

골경지신(骨鯁之臣) - 직언하는 강직한 신하

뼈 골(骨/0) 생선뼈 경(魚/7) 갈 지(丿/3) 신하 신(臣/0)

욕심이 없이 맑고 깨끗한 것이 淸廉(청렴)이다. 이것은 공직자의 기본 임무이며 모든 덕의 근원이라고 茶山(다산)은 牧民心書(목민심서)에서 강조했다. 마음이 꼿꼿하고 곧음이 剛直(강직)이다. 청렴한 사람에 자신이 올바르다고 믿는 것을 끝까지 주장하며 양보하지 않는 강직한 성품까지 지니면 錦上添花(금상첨화)겠다. 강직한 사람이라도 자칫 잘못 생각하면 쌓은 명예는 곤두박질친다. ‘사람이 욕심이 생기게 되면 강직이 사라진다(人有慾則無剛/ 인유욕즉무강)’고 朱子(주자)는 近思錄(근사록)에서 경계했다.

임금이나 권력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바르게 말하고 행동하는 강직한 신하를 생선가시에 비유한 성어는 ‘史記(사기)’에서 유래했다. 직언을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 마치 목구멍에 가시가 걸린 것 같은 정도니 얼마나 아픈 소리일까. 생선뼈 鯁(경)은 쉽사리 굴하거나 양보하거나 하지 않을 만큼 강한 것을 말하는 强鯁(강경)에 쓰인다. 刺客(자객)열전에 나오는 내용을 요약해 보자. 春秋時代(춘추시대) 吳(오)나라의 闔閭(합려)가 왕이 되기 전 공자 光(광)이었을 때 이야기다.

그는 부왕이 자기에게 왕위를 물려주지 않아 숙부들이 차례로 왕이 된 것에 불만이 많았다. 막내 숙부 季札(계찰)이 왕위를 사양하자 둘째 숙부 아들이 왕위를 이어 僚王(요왕)이 되었다. 공자 광은 伍子胥(오자서)가 소개한 자객 專諸(전제)를 후대하며 때를 엿보던 중 요왕이 楚(초)나라를 치러 간 사이 살해하자고 했다. 전제가 말했다. ‘지금 오나라는 밖으로 초나라에 고통을 당하고 있고, 안으로는 조정이 텅 비어 믿을 만한 신하가 없습니다. ’ 왕을 없앨 기회라는 말에 거사를 일으켜 성공하고 공자 광은 왕위에 올랐다.

여기서 인용된 곳이 많다. ‘漢書(한서)’ 杜周傳(두주전)에는 ‘조정에 강직한 신하가 없다(朝無骨鯁之臣/ 조무골경지신)’고 했고 韓愈(한유)의 ‘爭臣論(쟁신론)’에는 ‘사방의 사람들과 후대의 사람들로 하여금 조정에 직언하는 골경지신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야 한다 ’고 표현했다.

선견지명先見之明 -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아는 지혜

선견지명先見之明 -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아는 지혜

선견지명(先見之明) -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아는 지혜

먼저 선(儿/4) 볼 견(見/0) 갈 지(丿/3) 밝을 명(日/4)

사람이 자신의 운명을 알 수 있다면 행복할까. 모두들 그에 대비하느라 현재의 삶을 소홀히 하기 쉬워 큰 복은 아닐 듯싶다. 인간이 자신의 미래를 알아버리면 항상 끝없는 기쁨과 공포가 뒤섞여 한 순간도 평화스러울 때가 없어진다는 서양 격언이 있다. 그래서 지혜가 깊은 전지전능한 신도 미래의 일을 모르도록 캄캄한 밤으로 덮었다고 했다. 앞날을 알지 못하므로 설사 오늘 모든 것을 잃더라도 아직 미래가 남아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으니 역시 모르는 것이 낫겠다.

운명까지는 아니더라도 사물이 앞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알 수 있다면 일을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어떤 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내다보고(先見) 그에 대한 지혜(之明)를 발휘하는 것은 큰 능력이다. 이 성어는 중국 三國時代(삼국시대) 曹操(조조)의 휘하 모사로 유명한 楊修(양수)의 일화에서 비롯된다. 양수는 폭넓은 지식과 깊이 있는 독서로 항상 조조의 의중을 읽어내는 데에 탁월했다. 그에 관한 성어로 닭의 갈비라는 뜻의 鷄肋(계륵)이 유명한데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점령지의 철수란 조조의 뜻을 알아챘다.

이런 양수의 재기에 조조는 크게 평가하면서도 깊은 신임은 주지 않았다. 양수가 원래 官渡(관도) 전투에서 조조에 패한 袁紹(원소)의 생질이었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여러 번 의중을 미리 알아챈 양수를 조조는 후환이 두려워 죽여 버렸다.

양수의 부친 楊彪(양표)는 아들을 잃고 비통해하다 조조가 야윈 이유를 묻자 대답했다. ‘저는 부끄럽게도 김일제와 같이 앞을 내다보지 못해 어미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마음뿐입니다. ’金日磾(김일제, 磾는 )는 武帝(무제)때 匈奴(흉노) 출신으로 자신의 아들이 황제에 무례하다며 죽였다. 그와 같이 못해 아들을 죽게 했다는 것이다. 范曄(범엽)이 쓴 ’後漢書(후한서)‘에 실려 있는 내용이다.

미래의 일을 지각할 수 있는 예지력은 큰 능력이다. 보통 삶들의 상상을 넘어서는 너무 앞서 나간 능력은 질시와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양수의 앞을 내다본 재주도 결국 화를 입었다. 그 능력을 조화롭게 펼칠 수 있도록 주위를 설득하는 것도 큰 재주이다. 독불장군은 없는 법이다.

배중사영杯中蛇影 - 술잔 위에 비친 뱀의 그림자. 지나친 근심

배중사영杯中蛇影 - 술잔 위에 비친 뱀의 그림자. 지나친 근심

배중사영(杯中蛇影) - 술잔 위에 비친 뱀의 그림자. 지나친 근심

잔 배(木/4) 가운데 중(丨/3) 긴뱀 사(虫/5) 그림자 영(彡/12)

편안한 친구와 마주 앉아 술을 마시는데 술잔 속(杯中)에 뱀의 그림자(蛇影)가 어른거린다. 이 친구가 술에 무엇을 탔을까 의심하니 술맛이 싹 달아난다. 믿을 만한 친구인데 그럴 리가 없다며 억지로 마셨지만 속이 영 안 좋다. 이와 같이 아무 것도 아닌 일에 의심을 품고 지나치게 근심을 하거나 자기 스스로 걱정을 사서 하는 경우에 이 성어를 쓴다. 하늘이 무너질까 걱정하여 늘 안절부절 지낸 杞(기)나라 사람 杞人憂天(기인우천)과 꼭 같은 말이다.

중국 三國時代(삼국시대, 220년~280년) 이후 세워진 晉(진)나라에 樂廣(악광)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집이 가난하여 독학을 했어도 영리하고 신중해서 주위의 칭찬이 자자했다. 장성한 뒤 벼슬자리에 천거되어 河南(하남) 지역의 태수로 있을 때의 일이다.

친한 벗을 불러 술자리를 가진 적이 있었는데 자주 들르던 친구가 그 이후 연락이 두절되었다. 이상하게 생각하여 악광이 편지로 연유를 물었더니 답신이 왔다. 지난 번 술을 마실 때 권한 술잔에 조그만 뱀 한 마리가 보였다고 했다. 억지로 마셨더니 이후 병이 나 지금까지 누워 있다는 것이다.

술은 관가의 자기 방이었는데 곰곰 생각해보니 친구의 뒤편 벽에 뱀이 그려진 활이 걸려 있었다. 악광이 다시 친구를 불러 그 자리에서 술을 따르며 또 뱀이 보이느냐고 물었다. 전과 똑 같이 보인다고 대답하자 악광이 뒷벽을 가리키며 박장대소했다. ‘그건 저 활에 그려져 있는 뱀의 그림자(杯中蛇影)일세.’ 친구는 그 말을 듣고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달았다. 그리고선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고 했다.

‘晉書(진서)’ 악광전에 실려 있는 이야기다. 後漢(후한) 말 학자 應劭(응소, 劭는 아름다울 소)가 쓴 ‘風俗通義(풍속통의)’에는 등장인물이 應郴(응침, 郴은 고을이름 침)과 杜宣(두선)으로 다를 뿐 내용은 같이 나온다.

거짓은 더 큰 거짓이 필요하고 의심은 의심을 낳는다. 국가나 정당이나 이해집단을 막론하고 협상을 할 때 상대방의 안을 너무 이것저것 따지며 의심을 한다면 한이 없다. 선의로 받아들일 것은 받고 줄 것은 줘야 앞으로의 거래가 원활하다.

설니홍조雪泥鴻爪 -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 눈이 녹으면 없어지는 인생의 무상

설니홍조雪泥鴻爪 -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 눈이 녹으면 없어지는 인생의 무상

설니홍조(雪泥鴻爪) - 눈 위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 눈이 녹으면 없어지는 인생의 무상

눈 설(雨/3) 진흙 니(氵/5) 기러기 홍(鳥/6) 손톱 조(爪/0)

인생이 길다고 한 말은 어디에서나 들은 적이 없을 것이다. ‘인생은 행복한 자에게는 너무나 짧고, 불행한 자에게는 너무나 길다’고 한 영국 격언만 제외하고 말이다. 생활이 지겹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어디까지나 상대적이고, 형편이 나아진 이후로는 길다고 여기지 않는다. 이렇게 짧은 인생을 덧없다고 여기고, 욕심껏 이룬 부귀와 영화도 부질없다고 깨우치는 성어는 셀 수 없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南柯一夢(남가일몽)과 같이 꿈 이야기만 해도 羅浮之夢(나부지몽), 盧生之夢(노생지몽), 役夫之夢(역부지몽), 一場春夢(일장춘몽), 黃粱之夢(황량지몽)이 있다.

꿈 이야기 말고 대조적인 비유로 나타낸 성어도 제법 된다. 인생이 풀끝에 맺힌 이슬처럼 덧없고 허무하다는 속담 ‘풀끝의 이슬’과 똑 같은 것이 人生如朝露(인생여조로)이다. 바람에 깜박이는 등불과 같다는 人生如風燈(인생여풍등)도 같은 뜻이다. 여기에 눈이나 진흙 위(雪泥)에 난 기러기의 발자국(鴻爪)이란 멋진 표현도 인생의 자취가 눈이 녹으면 사라지는 무상을 나타냈다.

중국 北宋(북송)의 문호 蘇軾(소식, 1036~1101)의 시에서 나왔다. 東坡(동파)란 호로 더 잘 알려진 소식은 부친 蘇洵(소순)과 아우 蘇轍(소철)과 함께 三蘇(삼소)로 불렸다. 서정적인 것이 많은 唐詩(당시)에 비해 철학적인 요소가 짙은 시가 많다는 평을 듣는다.

소식이 동생 소철에게 보낸 시 ‘和子由澠池懷舊(화자유면지회구)’에 성어 구절이 들어 있다. 子由(자유)는 소철의 자, 澠池(면지)는 河南省(하남성)에 있는 지명이라 한다. 澠은 고을이름 면. 앞 부분만 보자. ‘인생은 여기저기 떠도는 것 무엇과 같을까, 기러기가 눈 내린 진흙 벌을 밟아놓은 것 같으니, 우연히 진흙 위에 발자국은 남겼지만, 기러기는 동서 어디로 날았는지 어떻게 알랴.’ 기러기 발자국은 흔적도 없고, 그것을 남긴 기러기도 어디로 사라졌는지 참으로 무상하다.

소리장도笑裏藏刀 - 웃음 속에 칼을 감추다, 겉과 속이 다르다.

소리장도笑裏藏刀 - 웃음 속에 칼을 감추다, 겉과 속이 다르다.

소리장도(笑裏藏刀) - 웃음 속에 칼을 감추다, 겉과 속이 다르다.

웃음 소(竹/4) 속 리(衣/7) 감출 장(艹/14) 칼 도(刀/0)

여기서 이 말하고, 저기서 다른 말 하는 사람은 누구나 따돌린다. 속에는 딴 생각이 가득해도 면전에서 듣기 좋은 말만 꾸며대서는 오래 가지 못한다. 面從腹背(면종복배)다. 말로는 온갖 칭찬을 늘어놓고 속에 해칠 생각을 갖고 있다면 이야말로 경계할 사람이다. 부드러운 솜 안에 날카로운 바늘을 감춘 綿裏藏針(면리장침)이다. 달콤하게 듣기 좋은 말만 하면서 속으로는 칼을 숨긴 口蜜腹劍(구밀복검)도 마찬가지다. 중국 唐(당)나라 6대 玄宗(현종)이 楊貴妃(양귀비)에 빠졌을 때 자신을 위협하는 충신들을 교묘한 방법으로 없앤 간신 李林甫(이임보)의 수법에서 나왔다.

속에 칼을 감춘 간신이 등장하는 성어가 더 있다. 이임보보다 앞선 2대 太宗(태종) 때의 李義府(이의부, 614~666)다. 그는 글을 잘 짓고 업무 능력도 뛰어나 임금으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3대 高宗(고종)이 즉위한 뒤 태종의 후궁이었던 則天武后(측천무후)를 황후로 삼는데 적극 찬성하여 벼슬이 더 높아졌다. 이의부는 겉으로는 온화하게 웃으면서(笑裏) 태도가 겸손했지만 속으로는 해칠 칼을 숨기는(藏刀) 재주가 있었다. 이런 가면성을 아는 사람은 가까이 하지 않았다.

이의부가 어느 때 사형수가 갇힌 옥을 둘러보다가 淳于(순우)라는 절색의 여인이 눈에 띄었다. 그는 온갖 감언이설로 옥리를 꾄 뒤 여자를 빼돌려 자신의 첩으로 삼았다. 소문이 돌고 이의부는 모른 체하며 되레 옥리에 죄를 뒤집어씌워 자살에 이르게 했다. 이의부가 손끝 하나 다치지 않자 어사 王義方(왕의방)이란 사람이 어전에서 처벌을 주장했다. 하지만 왕의 신임을 믿고 계략을 꾸며 왕의방을 변방으로 쫓아버렸다. 당시의 사람들은 이 일을 두고 ‘이의부의 웃음 속에는 칼이 들어 있다’고 말했다. 중국 唐(당)나라의 정사 ‘舊唐書(구당서)’에 실려 있다.

중국의 고대 병법인 ‘三十六計(삼십육계)’중에 제10계도 똑 같이 笑裏藏刀(소리장도)다.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을 믿게 하여 안심시킨 뒤에 허를 찔러 공격하는 계책이다. 적과 대치할 때는 무슨 수를 쓰든 승리해야 하지만 사회에서 이를 사용한다면 신의를 완전히 저버리는 비인간적인 전략이 된다. 어디까지나 신뢰를 바탕으로 일을 도모해야지 겉과 속이 달랐다가는 실패만 기다린다.

취문성뢰聚蚊成雷 - 모기소리가 모이면 우레가 된다, 사실을 왜곡하여 남을 욕하다.

취문성뢰聚蚊成雷 - 모기소리가 모이면 우레가 된다, 사실을 왜곡하여 남을 욕하다.

취문성뢰(聚蚊成雷) - 모기소리가 모이면 우레가 된다, 사실을 왜곡하여 남을 욕하다.

모을 취(耳/8) 모기 문(虫/4) 이룰 성(戈/3) 우레 뢰(雨/5)

어릴 때부터 듣는 속담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는 무슨 일이나 그 시작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작은 물건도 많이 모으면 나중 크게 이룰 수 있다는 성어는 많고 또 긍정적이다. 티끌 모아 태산이 된다는 塵積爲山(진적위산), 塵合泰山(진합태산) 말고도 작은 물방울이 바위를 뚫거나(水滴石穿/ 수적석천) 연못을 이루기도 한다(水積成淵/ 수적성연)고 했다.

잘 알려진 愚公移山(우공이산)이나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드는 磨斧爲針(마부위침회)도 있다. 반면 무섭거나 부정적인 것도 있다. 깃털이 쌓여 배를 가라앉히는 積羽沈舟(적우침주)와 같이 모기소리가 많이 모이면(聚蚊) 우레가 된다(成雷)는 이 성어는 소인배가 사실을 왜곡하여 열심히 남을 욕함을 이르는 말이다.

史記(사기)에 버금가는 後漢(후한) 초기 역사가 班固(반고)의 대작 ‘漢書(한서)’에서 이 성어가 유래했다. 前漢(전한)의 6대 景帝(경제)의 아들들이 봉해진 임지에서 올라오자 왕이 주연을 베풀었다. 그 때 中山王(중산왕) 勝(승)이 음악소리를 듣고서는 눈물을 흘리기에 황제가 의아해서 연유를 물었다.

중산왕은 자기를 참소하는 말에 답답해하며 해명한다. ‘뭇 사람의 입김에 산이 떠내려가고, 모기소리가 모여 우레가 된다고 합니다. 패거리를 지으면 범을 사로잡고, 사나이 열 명이 합심하면 쇠공이를 휘게 할 수 있습니다(衆喣漂山 聚蚊成雷 朋黨執虎 十夫橈椎/ 중후표산 취문성뢰 붕당집호 십부요추).’ 喣는 불 후, 漂는 떠다닐 표, 橈는 꺾어질 요, 椎는 쇠몽치 추.

여러 사람의 험담에 文王(문왕)이 구금된 바 있고 孔子(공자)도 陳蔡(진채)에서 곤욕을 치렀다며 다시 강조한다. ‘뭇 사람의 입은 쇠도 녹이고, 헐뜯는 말이 쌓이면 뼈도 삭으며, 가벼운 것이라도 수레 축대를 무너뜨리고, 새의 깃털이 무거운 몸을 날게 할 수 있습니다(衆口鑠金 積毀銷骨 叢輕折軸 羽翮飛肉/ 중구삭금 적훼소골 총경절축 우핵비육).’ 鑠은 녹일 삭, 銷는 쇠녹일 소, 翮은 깃촉 핵. 임금의 아들과 후손을 기록한 景十三王傳(경십삼왕전)에 실려 있다.

半 bàn

半 bàn

半 bàn

1. 2분의 1 2. 한가운데의 3. 매우 적은 양을 나타냄 4. 반쯤

거립지교車笠之交 - 신분의 귀천을 뛰어넘은 우정

거립지교車笠之交 - 신분의 귀천을 뛰어넘은 우정

거립지교(車笠之交) - 신분의 귀천을 뛰어넘은 우정

수레 거(車/0) 삿갓 립(竹/5) 갈 지(丿/3) 사귈 교(亠/4)

친구 사이의 아름다운 우정을 기리는 고사는 쌔고쌨다. 혈연이 아니면서 혈연 이상으로 서로 돕고, 친구의 위험을 자기가 안는 미담이 많아 이 난에서도 다수 소개했다. 이번엔 약간 생소하여 평시엔 잘 사용하지 않는 우정에 관한 성어도 한 번 모아 보자. 먼저 淸(청)나라 金纓(금영)이 편찬한 격언집 格言聯璧(격언연벽)의 구절엔 이런 것이 있다.

‘노름과 오락으로 사귄 친구는 하루를 넘기지 못하고, 술과 음식으로 사귄 친구는 한 달을 넘기지 못한다. 세력과 이익으로 사귄 친구는 한 해를 넘기지 못하며, 오직 정의로 사귄 친구만이 영원히 이어진다. ’ 연벽이란 쌍벽과 같은 뜻으로 격언을 쌍벽처럼 묶어 놓은 책이란 뜻이다.

孔子(공자)님은 정직한 사람, 성실한 사람, 견문이 많은 사람과 사귀라고 益者三友(익자삼우)를 내세웠다. 明(명)나라 蘇竣(소준)은 雞鳴偶記(계명우기)란 책에서 친구를 네 종류로 나누었다. 첫째는 畏友(외우)로 서로 잘못을 바로 잡아주고 도를 위해 노력하는 친구 사이, 둘째 密友(밀우)는 좋은 일이 있을 때나 서로 돕고 생사를 같이 하는 사이, 셋째 昵友(닐우)는 좋은 일이 있을 때나 놀 때만 잘 어울리는 사이, 마지막으로 賊友(적우)는 이익을 보면 서로 싸우고 근심거리가 있으면 미루는 사이를 말했다. 昵은 친할 닐. 이익을 두고 서로 싸우는 사이를 친구로 포함시킨 것이 의외다.

신분이나 생활수준이 차이나는 것을 뛰어넘은 친구는 더 아름답다. 伯牙絶絃(백아절현)은 고관과 나무꾼, 水魚之交(수어지교)는 군신관계였다. 한 사람은 수레를 타고, 다른 사람은 패랭이를 쓰고(車笠) 다닐 정도로 차이가 나는 두 친구의 사귐(之交)을 말하는 이 성어도 신분의 귀천을 뛰어넘는다. 宋(송)나라 太宗(태종)의 명으로 李昉(이방, 昉은 밝을 방)이 엮은 ‘太平御覽(태평어람)’에 인용되어 전한다. 越(월)나라 풍속에 우정을 맺을 때의 예를 소개하고 그 때 축원하는 말에 나온다. ‘그대는 수레를 타고, 나는 삿갓을 쓰고 다른 날 만나면 수레에서 내려 서로 읍하세.

십벌지목十伐之木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 꾸준히 노력하면 성취한다.

십벌지목十伐之木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 꾸준히 노력하면 성취한다.

십벌지목(十伐之木)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 꾸준히 노력하면 성취한다.

열 십(十/0) 칠 벌(亻/4) 갈 지(丿/3) 나무 목(木/0)

중도에서 일을 작파하지 말고 꾸준히 계속하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속담과 성어가 많다. ‘열 번 갈아서 안 드는 도끼가 없다’란 속담은 磨斧作鍼(마부작침)과 통한다. 백절불굴의 강인한 정신과 기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열 번 쓰러지면 열 번 일어난다’는 속담도 있다. 깃털이 쌓여 배를 가라앉힌다는 積羽沈舟(적우침주), 물방울이 계속 떨어져 바위를 뚫는 水滴石穿(수적석천) 외 같은 성어는 수두룩하다.

이 모든 속담보다 더 자주 사용돼 귀에 익은 말이 ‘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 없다’를 옮긴 이 성어일 것이다. 정확히 풀어 十斫木無不顚(십작목무부전)이라고도 한다.

이 말은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포기하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기어이 이룬다는 뜻으로 보통 쓴다. 여기서 뜻이 넓혀져 아무리 뜻이 굳은 사람이라도 여러 번 권하거나 꾀고 달래면 결국은 마음이 변한다는 뜻도 된다. 정신을 집중하면 어떤 일도 이룰 수 있는 강인함이 앞의 뜻이라면 후자는 아무리 굳은 의지라도 흔들릴 수 있다는 지조의 나약함을 가리킨다.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 魏(위)나라가 趙(조)에 져서 태자와 함께 龐恭(방공)이란 사람이 인질로 가게 됐다. 방공은 왕에게 말했다. 어떤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믿겠느냐고 하니 믿지 않는다고 했다. 두 사람이 말해도 믿지 않겠다고 말한 왕은 세 사람이 나타났다면 믿겠다고 했다. 방공이 말했다.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나지 않을 것은 분명한데도 세 사람이 말하자 나타난 것으로 됐습니다(夫市之無虎也明矣 然而三人言而成虎/ 부시지무호야명의 연이삼인언이성호).’ 자신에 대해 근거 없는 말이 떠돌아도 믿지 말라고 한 뜻이지만 왕은 그 뜻을 지키지 못했다. ‘韓非子(한비자)’에 나오는 三人成虎(삼인성호)의 유래다. ‘戰國策(전국책)’에도 같은 이야기가 있다.

미인을 얻기 위해서는 용기가 앞서야 한다며 열 번 찍어야 한다고 호사가들은 말한다. 이런 노력은 가상한 일이지만 무턱대고 찍어서는 나무만 상한다. 도끼날을 잘 갈고 자루도 튼튼히 하는 등 만반의 준비가 앞서야 한다. 신의를 주지 않고 자신에 유리한 말만 퍼뜨린다면 세 사람이 와서 법이 나타났다고 해도, 나무를 열 번 찍어도 흔들리지 않는다. 어디에서나 믿음이 앞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