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4일 화요일

사랑하는 사람과 이렇게 살고 싶다 

사랑하는 사람과 이렇게 살고 싶다 

사랑하는 사람과 이렇게 살고 싶다\xa0

\xa0

이제 나머지 세월

무얼 하며 살겠느냐 물으면

사랑하는 사람과 이렇게 살고 싶다고\xa0

\xa0

기도로 하루를 열어

텃밭에 가꾼 행복 냄새

새벽별 툭툭 털어 아침 사랑 차리고\xa0

\xa0

햇살 퍼지는 숲길 따라

야윈 손 꼭 잡고 거닐며

젊은 날의 추억 이야기하면서

선물로 주신 오늘을 감사하고\xa0

\xa0

호수가 보이는 소박한 찻집에서

나이 든 옛 노래 발장단 고갯짓으로

나지막이 함께 따라 부르며

이제까지 지켜 주심을 감사하고\xa0

\xa0

한마디 말없이 바라만 보아도

무슨 말 하려는지

무슨 생각하는지 읽을 수 있는\xa0

\xa0

살다 때로 버거워지면

넉넉한 가슴에서 맘 놓고 울어도

편할 사람 만났음을 감사하고\xa0

\xa0

빨간 밑줄 친 비밀

불치병 속앓이 털어놓아도

미안하거나 부끄럽지 않게

마음 나눌 사람 곁에 있음을 감사하고\xa0

\xa0

세상에 태어난 의미요

살아온 보람이며

살아갈 이유되어 서로 믿고 의지하고\xa0

\xa0

가을 낙엽 겨울 빈 가지 사이를

달리는 바람까지 소중하고

더 소중한 사람 있어 그것에 감사하고\xa0

\xa0

그리고 서산에 해 넘으면

군불 지핀 아랫목에 짤짤 끓는 정으로

날마다 기적 속에 살아감을 감사하고\xa0

\xa0

하루해 뜨고 지는 자연의 섭리

차고 기우는 달과 별 보내고 맞는

사계 물고기 춤사위 벗하여\xa0

\xa0

솔바람 푸르게 일어서는 한적한 곳에

사랑 둥지 마련해 감사 기도드리며

사랑하는 사람과 이렇게 살고 싶다\xa0

\xa0

-‘좋은 글, 좋은 생각’ 중-

사람에게 묻는다 

사람에게 묻는다 

사람에게 묻는다\xa0

\xa0

땅에게 묻는다.

땅은 땅과 어떻게 사는가?

땅이 대답한다.

우리는 서로 존경하지.\xa0

\xa0

물에게 묻는다.

물과 물은 어떻게 사는가?

물이 대답한다.

우리는 서로 채워 주지.\xa0

\xa0

사람에게 묻는다.

사람은 사람과 어떻게 사는가?

사람은 사람과 어떻게 사는가?

스스로 한번 대답해 보라.\xa0

\xa0

"

-우리들이 사랑하는 세계의 명시 365 중-

"

안아주세요

안아주세요

안아주세요

안아주세요

차가운 마음이 따뜻해질 수 있게\xa0

\xa0

안아주세요

아픈 마음이 포근해질 수 있게\xa0

\xa0

안아주세요

슬픈 마음이 달래질 수 있게\xa0

\xa0

안아주세요

지친 마음이 위로받을 수 있게\xa0

\xa0

안아주세요

힘든 마음이 용기를 낼 수 있게\xa0

\xa0

곁에있는 사람을 안아주세요

사랑한다는 말보다 힘이 됩니다\xa0

\xa0

-유지나-

내려놓음의 끝에는 행복이 있다.

내려놓음의 끝에는 행복이 있다.

내려놓음의 끝에는 행복이 있다.

내가 행복할 때보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행복할 때 더욱 행복합니다.\xa0

\xa0

포기는

할 수 없다고 멈추는 것이고,

내려놓음은 할 수 있지만

비우는 마음으로 하지 않기로

결단하고 멈추는 것입니다.\xa0

\xa0

포기는 아쉬운 결정이고,

내려놓음은 깊은 성찰인 것입니다.\xa0

\xa0

옳은 일을 할 때 느끼는 기쁨과

바른 길을 갈 때 느끼는 평안,

바로 그 기쁨과 평안이

우리 인생의 가장 큰 보상입니다.\xa0

\xa0

그 기쁨과 평안 속으로 걸어가면,

인생의 모든 순간은 영원한 시간입니다.\xa0

\xa0

마지막은

마지막이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지금이 결정하는 것입니다.

인생의 아름다운 마무리는

지금을 마지막처럼 사는 것입니다.\xa0

\xa0

-조정민 길을 찾는 사람 중에서-\xa0

백조의 호수

백조의 호수

백조의 호수

"

차이콥스키가 불후의 명곡으로 알려진 백조의 호수를 작곡한 것은 1876년 그의 나이 36세 때였습니다.

",

"

백조의 호수는 마법사 로트바르트의 마법에 걸려 낮에는 백조가 됐다가 밤에는 다시 인간이 되는 오데트 공주와 사랑에 빠진 지그프리드 왕자의 사랑 이야기 입니다.

",

이 곡은 모스크바의 볼쇼이 극장 측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작곡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당시만 해도 발레 음악은 높은 평가를 받지 못했습니다.

그냥 안무가의 주문에 따라 단순하며 춤추기 좋은 선율들을 만들어 연결하는 수준 이었습니다.

"

그런데 최고의 작곡가로 알려진 차이콥스키가 백조의 호수 음악을 맡았다는 것 자체가 러시아에서는 큰 이슈가 되었습니다.

",

그러나 1년 뒤 진행된 공연은 실패로 끝났습니다. 세련된 음악에 맞는 안무가 만들어 지지 못한 탓입니다.

더욱이 수준 이하의 저질이라는 악평까지 들을 정도였습니다.

차이콥스키는 잠을 이룰 수 없을 정도로 괴로워했지만, 신념을 무너뜨리진 않았습니다

"

현재의 악평에 두려워 하지 말자. 악평은 언젠가는 찬사로 바뀔 테니까...라는 말을 버릇처럼 되새겼고

",

결국 수 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찬사를 받는 최고의 발레 명곡으로 명성을 떨치게 된 것입니다.

가진 것은 비워야 채우게 되고, 명성은 도전해야 쌓이는 것입니다.

누구도 가지 않는 곳을 가고, 몇 번의 성공에 머물러 있지 않고, 끝없이 도전하고,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 사람, 계속 도전하면 성공할 수있다는 긍정의 힘을 굳게 믿는 사람만이 최고가 될 수 있습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옮긴 글-

봄날의 사랑 이야기 / 정연복

봄날의 사랑 이야기 / 정연복

봄날의 사랑 이야기 / 정연복

\xa0 \xa0 \xa0 \xa0 \xa0

사랑은 장미처럼

활활 불타지 않아도 좋으리\xa0

\xa0

사랑은 목련처럼

눈부시지 않아도 좋으리\xa0

\xa0

우리의 사랑은

봄의 들판의 제비꽃처럼\xa0

\xa0

사람의 눈에 안 띄게

작고 예쁘기만 해도 좋으리\xa0

\xa0

우리의 사랑은 그저

수줍은 새색시인듯\xa0

\xa0

산 속 외딴곳에

다소곳이 피어있는\xa0

\xa0

연분홍 진달래꽃

같기만 해도 좋으리\xa0

\xa0

이세상 아무도 모르게

우리 둘만의 맘속에만\xa0

\xa0

살금 살금 자라나는

사랑이면 좋으리\xa0

웃음이 있는 자에겐 가난이 없다.

웃음이 있는 자에겐 가난이 없다.

웃음이 있는 자에겐 가난이 없다.

거리를 거닐 때마다

놀라는 일중의 하나는

지금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표정에

웃음이 없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살기가 험악한

세상이라고 하지만

이 세상에서 인간 외에

웃을 수 있는 동물은 없습니다

사실 아무리 어려웠고

괴롭던 일들도

몇 년이 지난 후에 돌이켜 보면

얼마나 어리석게

느껴지는지 모릅니다

세상의 모든 것은

다 지나가고 맙니다

고통도 환난도 좌절도

실패도 적대감도 분노도

노여움도 불만도 가난도..

웃으면서 세상을 보면

다 우습게 보입니다

그래서 웃고 사는 한

결코 가난해지지 않습니다.

백번의 신음소리 보다는

한번의 웃음소리가 갖는 비밀을

빨리 터득한 사람이

그 인생을 복되게 삽니다

연약한 사람에겐

언제나 슬픔만 있고

위대한 사람에겐 언제나

소망의 웃음만 있습니다

더 잘 웃는 것이

더 잘 사는 길입니다

더 잘 웃는 것이

더 잘 믿는 것입니다

더 잘 웃는 것이

더 큰 복을 받는 비결입니다

우리의 얼굴에 웃음이

떠나지 않을 때

우리는 부유해 집니다

"

-웃음 바이러스 중-

"

봄이 아름다운 까닭입니다 / 박명숙

봄이 아름다운 까닭입니다 / 박명숙

봄이 아름다운 까닭입니다 / 박명숙

\xa0

침묵의 시간을

잠잠히 견뎌왔기 때문이라\xa0

\xa0

앙상한 가지에 여린 꽃봉오리를 보라

헛헛한 가슴에 훈훈한 바람이 일고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소망이 있기 때문이라 \xa0

\xa0

감각의 촉수를 세우고

살아 움직이는 봄을 가슴으로 느껴보라

꿈틀대는 그 무엇이 꽃처럼 화사하게

내 안에 피어나지 않는가 \xa0

\xa0

세상이 온통 꽃밭이어도

가슴에 피지 않으면

마음에 향기가 없다면

무슨 소용이라

꽃이 피고 지는 것도 한순간 이더라\xa0

\xa0

놀라운 일이다

죽은 듯 앙상했던 가지에

꽃이 핀다는 것은

임이 오는 것처럼 설레는 일이다\xa0

\xa0

가슴 가득 보고, 느끼고, 감동하며,

삭막한 가슴에

내 임의 속삭임을 들어 보라

가슴에 피는 꽃은 지지 않는 꽃이니

계절마다 그리움의 꽃으로 피어나리라\xa0

\xa0

봄이 아름다운 까닭은

가슴마다 생기를 불어넣어

꽃을 피우고 마음에 향기를 내어주니

그때야 비로소 세상은

아름다운 봄날 이리라

그대 가슴에 별이 있는가 / 양광모

그대 가슴에 별이 있는가 / 양광모

그대 가슴에 별이 있는가 / 양광모

그는 가슴에 별이 없는

사람이다\xa0

\xa0

그는 가슴에 별이 없어

슬픈 사람이다\xa0

\xa0

우연히 바라본 밤하늘에

별똥별 떨어질 때\xa0

\xa0

두 손 가지런히

모아지지 않는다면\xa0

\xa0

그는 밤하늘에 홀로 떠 있는

별과 같은 사람이다\xa0

\xa0

그는 밤하늘을 홀로 떨어지고 있는

별똥별 같은 사람이다\xa0

\xa0

가을이 와도 밤하늘을

올려다보지 않는 사람아\xa0

\xa0

그대,

가슴에 별이 있는가

산다는 것은

산다는 것은

산다는 것은

어쩌면 산다는 것은

삶이란 무대에서 나와 가족이

대본도 없이 주연과 조연 때로는

엑스트라가 되어 영화를 찍고

연극을 하며 살아오고 살아가는

것이었으리라\xa0

\xa0

여자가 아닌 어미로 내가

세상과 맞서 지금까지 살아온 것은

끝나지 않은 연극에서 이어지는

드라마 같은 인생을 살아가는

여자의 일생이었으리라\xa0

\xa0

산다는 것은 그래...

지나온 삶을 생각해보면

오랜 세월을 산 것도 아니었지만

끝도 보이지 않는 망망대해에서

혼자서 하는 외롭고 험난한

항해였을지도 모른다\xa0

\xa0

나에게 산다는 것은

이 땅에서 서민으로 어미로

살아야 한다는 것이 어려웠지만,

내 삶의 이유였던 지켜야 할

소중한 보석이 있었기에 살아야 했고

살아가야 할 일이었다.\xa0

\xa0

"

-유미영 시집 사랑해서 미안했습니다p.94~95-\xa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