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일 금요일

【주걱댕강나무】

【주걱댕강나무】

【주걱댕강나무】

희귀식물인 댕강나무나 줄댕강나무보다 꽃이 현저히 큰 주걱댕강나무는 우리나라 남쪽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습니다.

그전에는 일본특산식물로 우리나라에는 자생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지 않던 나무입니다.

부산 근교에 많은 개체수가 자라고 있으며 국내 유일의 자생지입니다.

▷ 학명 : 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 분류 : 인동과

▷ 분포지역 : 한국(경상남도 밀양시), 일본

▷ 서식장소 : 산지

▷ 특징 :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1∼2m이고 작은가지는 적갈색에서 회갈색이다. 잎은 마주달리고 사각상 달걀모양으로 털이 있으며 윗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짧은 잎자루가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취산꽃차례에 3∼5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화관은 황백색으로 통처럼 생기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아래쪽 갈래조각 안에 황색 무늬가 있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며, 열매 끝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노랑미치광이풀】

【노랑미치광이풀】

【노랑미치광이풀】

미치광이풀은 산림청 희귀식물로 등록된 식물입니다.

이 풀을 소가 먹으면 미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노랑미치광이풀은 미치광이풀의 변종으로 미치광이풀보다 더욱 귀한 식물입니다.

▷ 학명 : Scopolia lutescens Y.N.Lee

▷ 분류 : 가지과

▷ 분포지역 : 강원도와 충청도

▷ 서식장소 : 산지의 습기 있는 숲속

▷ 특징 : 노란색 꽃이 피고 미치광이풀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20~60㎝이다. 땅속에 퉁퉁하고 마디가 많은 뿌리줄기가 있으며, 줄기의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 땅속에 퉁퉁하고 마디가 많은 뿌리줄기가 있으며, 줄기의 상부에서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달걀형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는 밋밋한 편이지만 톱니가 있는 것도 있다. 길이는 10~20㎝, 폭은 3~7㎝이며 잎자루가 있다.

꽃은 4~5월에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아래를 향해 1개씩 노란색으로 핀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는데, 개체에 따라 갈래조각의 길이가 서로 비슷한 것이 있는가 하면 5개의 갈래조각 중 유독 1개만 긴 것도 있다. 화관은 종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5개로 얕게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는 여러 개의 방에서 튀어나오는 삭과(蒴果)이고 구형이며, 익으면 뚜껑처럼 가로로 열린다.

노랑미치광이풀과 미치광이풀을 비교할 때, 둘 다 꽃받침조각의 길이가 서로 비슷한 개체가 있는가 하면 유독 1개만 긴 개체도 있다. 그러므로 노랑미치광이풀이 독립종으로 설정된 이유가 5개의 꽃받침조각 중 1개가 잎 모양으로 대형인 점 때문이라면, 노랑미치광이풀을 미치광이풀의 변종이나 품종으로 보아야 한다.

爸爸 bà‧ba

爸爸 bà‧ba

爸爸 bà‧ba

=> 아빠

【남방바람꽃】

【남방바람꽃】

【남방바람꽃】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될 당시는 한라바람꽃이라고 하였으나 그후 전남, 경남 등지 남부지방에서 계속 발견되어 남방바람꽃이라고 합니다.

다른 바람꽃의 차이점은 줄기의 끝부분에 2개의 꽃봉오리가 올라 오는데 1개가 먼저 피고, 나중에 두번째의 꽃이 피며 꽃잎(실제는 꽃받침임)의 뒷편이 붉은색 계통을 띈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 학명 : Anemone flaccida

▷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 서식장소 : 습기 있는 산기슭

▷ 특징 : 남쪽 지방에서 자라고 바람꽃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15~20㎝이다. 땅속에 황갈색의 뿌리줄기가 있다. 1942년 전남 구례에서 박만규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남바람꽃으로 명명되었으나, 1974년 《한국쌍자엽식물지》에서부터 남방바람꽃도 통용되었다. 2006년 제주도에서 발견되었을 때는 한라바람꽃으로 불리기도 했다.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심장 모양의 원형이며, 3개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의 가장자리에 찢긴 조각 모양의 큰 톱니가 있다. 표면에 광택이 약간 있고 흰색 무늬가 있기도 하며, 양면에 거친 털이 있고 특히 가장자리를 따라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다.

꽃은 4~5월에 포 사이에서 나온 1~3개의 기다란 꽃대 끝에 각각 1개씩 흰색으로 핀다. 꽃의 지름은 2㎝이다. 꽃대에 털이 있다. 꽃 밑에 달리는 잎처럼 생긴 포는 2개이고, 찢긴 조각 모양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와 함께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흰색이고 5~7개가 꽃잎처럼 보이며, 뒷면에 흔히 진한 분홍빛이 돌고 털이 있다. 꽃잎은 없다. 수술과 암술은 많다.

【점현호색】

【점현호색】

【점현호색】

산림청 희귀식물로 등록된 점현호색입니다.

점현호색은 주로 중부지방에 자라고 잎에 흰 반점이 있는 것이 특색입니다.

현호색은 종류가 많이 있는데 현호색, 들현호색, 댓잎현호색, 애기현호색, 왜현호색, 갈퀴현호색, 남도현호색, 빗살현호색 등 너무 많아 다 열거하기도 어렵습니다.

특히 현호색 끼리 교잡종이 많아 정확히 분류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상세하게 분류된 종류을 합치는 일을 하고 있는 식물이기도 합니다.

▷ 학명 : Corydalis maculata

▷ 분류 : 양귀비과

▷ 분포지역 : 중부지방 경기도, 강원도

▷ 서식장소 : 산골짜기 숲 속 그늘

▷ 특징 : 잎에 점무늬가 있고 현호색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는 10~25㎝이다. 구형의 덩이줄기가 있으며, 줄기는 비늘조각잎의 밑부분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가 나온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2회에 걸쳐 작은잎(소엽)이 3개씩 달리는 3출엽이다. 작은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다. 표면에 흰색 반점이 나타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지만, 거의 나타나지 않는 개체도 있다.

꽃은 3~4월에 줄기 끝에 청자색으로 피며, 5~20㎝개가 모여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의 뒤쪽은 기다란 꿀주머니로 된다. 꽃의 크기가 유사종에 비해 큰 편이고 가운데 부분이 불룩하며, 아래쪽의 바깥꽃잎이 넓다. 포는 대개 갈색을 띤다.

열매는 여러 개의 방에서 튀어나오는 삭과(蒴果)이고 납작한 방추형이며, 그 안에 광택이 있는 검은색 씨가 거의 2열로 배열된다. 씨에 당분체가 붙어 있다.

【만주바람꽃】

【만주바람꽃】

【만주바람꽃】

산림청 희귀식물에 등재된 만주바람꽃입니다.

처음 발견 장소가 만주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지금은 남부지방까지 내려와 살고 있습니다.

자생지가 사방댐을 만든다고 하여 모두 사라지고 겨우 몇포기만 찾았습니다.

생태계 조사는 하지 않고 매년 이렇게 공사를 하니, 생태계 파괴의 주범은 공무원입니다.

▷ 학명 : Isopyrum mandshuricum

▷ 분류 : 미나리아재빗과

▷ 분포지역 : 한국, 중국 동북부, 우수리강 등지

▷ 서식장소 : 산기슭 숲 속 그늘

▷ 특징 : 만주바람꽃은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토양에 부엽질이 많은 양지쪽에서 자란다. 키는 15~20㎝이고, 잎은 한 잎에서 3갈래로 갈라지고 다시 잎은 2~3개로 갈라진다.

꽃은 옅은 노란색과 흰색으로 잎 사이에서 한 송이씩 달리며 지름은 약 1.5㎝이고, 긴 꽃자루가 있다. 뿌리부분은 마치 고구마 줄기처럼 많은 괴근이 달려 있다. 어린 싹이 올라올 때는 마치 개구리 발톱과 같은 모양으로 올라온다. 열매는 6~7월경에 달리고 종자는 검은색이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보춘화】

【보춘화】

【보춘화】

보춘화(報春花)를 우리는 아무 생각없이 일본식 한자말인 춘란(春蘭)이라고 하지요.

좋은 우리말은 잊어버리고 말입니다.

춘란보다는 보춘화가 더욱 정감이 가지 않나요?

보춘화 즉 봄을 알리는 꽃이라고 우리 조상들은 늘 가까이에서 키웠든 난초입니다.

이른 봄에 꿩이 먹을 것이 없을 때 먹었다고 하여 "꿩밥"이라고 남부지방에서는 방언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춘화의 변이종들은 고가로 판매가 됩니다. 그래서 난초라고 하면 모두 비싼 것으로 알고 산채를 하여 옵니다. 그리하다 보니 보춘화도 희귀식물 후보종에 들게 되었습니다.

우리 주변에 많이 있다고 하여 보존을 하여 않으면 언제 없어질지도 모르는 것이지요.

자손만대 보존이 될 수 있도록 자연 그대로 자라게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학명 : Cymbidium goeringii

▷ 분류 : 난초과

▷ 분포지역 : 한국(제주·전남·전북·경남·울릉도)·중국·일본

▷ 서식장소 : 산지 숲 속의 건조한 곳

▷ 특징 : 춘란(春蘭)이라고도 한다. 높이 20~24cm로 산지 숲 속의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육질인 굵은 뿌리는 수염같이 벋고 흰색이다. 공 모양의 비늘줄기는 밀접하게 옆으로 이어지고 윗부분이 시든 잎의 밑동으로 싸인다. 잎은 모여나고 상록이며 길이 20~50cm, 나비 6~10mm의 줄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잎집은 잎 밑부분에 있고 나비가 좁으며 짧은 형태이다. 시든 잎집에는 황갈색의 섬유가 있다. 꽃줄기는 높이 10~25cm로서 곧추서고 연한색의 육질이며 굵은데 막질인 칼집 모양의 잎에 싸여 있다. 포(苞)는 길이 3~4cm로 칼집 모양의 잎과 같은 모양이나 초(齧)가 없고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3~4월에 피고 꽃줄기 끝에 1~2개가 달리며 지름 3~5cm이고 연한 황록색이며 다소 향기가 나는 것도 있다. 꽃받침은 약간 육질이고 길이 3~3.5cm, 나비 7~10mm의 거꾸로 선 바소꼴로 끝이 둔하며 벌어진다. 꽃잎은 꽃받침과 비슷하지만 다소 짧다.

입술꽃잎은 꽃받침보다 약간 짧고 흰색이며 뒤로 젖혀지는데 짙은 적자색의 반점이 있다. 입술꽃잎 중앙에 홈이 있고 끝이 3개로 갈라지는데 중앙 갈래조각은 입술같으며 안쪽으로 가는 돌기가 밀생한다. 꽃술대는 길이 15mm로 꽃잎과 입술꽃잎에 싸여 있다.

【생강나무】

【생강나무】

【생강나무】

생강이 달리는 나무가 아니라 꽃이나 잎과 가지에서 생강 냄새가 난다고 하여 붙은 이름입니다.

생강나무는 어린 가지와 잎을 말려 가루로 만들어 생강 대신 사용하였으며, 생강과 비슷한 작용이 있어서 생강처럼 차로 달여서 마사면 감기 예방에도 좋다고 합니다.

참고로 김치에 넣는 생강은 인도 원산의 풀입니다.

▷ 학명 : Lindera obtusiloba Blume

▷ 분류 : 녹나무과

▷ 분포지역 : 전국 분포

▷ 서식장소 : 산지의 계곡이나 숲 속의 냇가

▷ 특징 : 산지의 계곡이나 숲 속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3∼6m이고, 나무 껍질은 회색을 띤 갈색이며 매끄럽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길이가 5∼15cm이고 윗부분이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3개의 맥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가 1∼2cm이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3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노란 색의 작은 꽃들이 여러 개 뭉쳐 꽃대 없이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화피 조각 6개와 9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 조각 6개와 1개의 암술, 그리고 헛수술 9개가 있다. 작은꽃자루은 짧고 털이 있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며 지름이 7∼8mm이고 9월에 검은 색으로 익는다. 새로 잘라 낸 가지에서 생강 냄새가 나므로 생강나무라고 한다. 연한 잎은 먹을 수 있다. 꽃은 관상용이고, 열매에서는 기름을 짠다. 한방에서는 나무 껍질을 삼첩풍(三 風)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타박상의 어혈과 산후에 몸이 붓고 팔다리가 아픈 증세에 효과가 있다

【올괴불나무】

【올괴불나무】

【올괴불나무】

괴불나무의 열매가 마치 어린아이의 주머니 끈 끝에 차는 노리개 즉 색 헝겊을 귀나게 접어서 속에 솜을 통통하게 넣고 상침을 놓아 색끈을 다는 것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괴불나무 중에서 가장 먼저 꽃이 핀다고 하여 올괴불나무입니다. 인동과 식물이기 때문에 인동(=인동덩굴, 인동초)처럼 생긴 꽃이 핍니다.

▷ 학명 : Lonicera praeflorens

▷ 분류 : 인동과

▷ 분포지역 : 한국·중국(만주)·우수리강

▷ 서식장소 : 산지의 숲속

▷ 특징 : 낙엽활엽 관목으로 높이 1~2m이고 어린 가지는 흑색 반점이 있으며 갈색을 띠고 묵은 가지는 회색이며 수피는 세로로 갈라져 떨어지고 가지의 속은 백색으로 꽉 차 있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3~6㎝, 너비 2~4㎝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에 분백색이 돌며 표면에 잔털, 뒷면에 융모가 밀생하고 엽병은 길이 1~5㎜이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전년지 끝에서 길이 2~3㎜의 화경이 나와 2개씩 달리며 화경에는 잔털과 선점(腺點)이 있고 포는 2개로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연모(緣毛)와 선모(腺毛)가 있다.

꽃받침은 불규칙하게 중렬하고 화관은 5개로 중렬하며 5개의 수술은 화관보다 약간 길다. 과실은 장과로 구형이고 5월에 붉게 익는다. 본종은 길마가지나무에 비해 잎은 흰빛을 띠고 털이 많으며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과실은 기부만이 합쳐진다. 관상용으로 쓰인다.

【산자고】

【산자고】

【산자고】

딴 이름은 금등(金燈) · 산자고(山茨菰) · 산자고(山茨菇)이다. 백합과 식물인 까치무릇 Tulipa edulis Bak.의 비늘줄기를 말린 것이다. 우리 나라 각지의 산에서 자란다. 초여름에 비늘줄기를 캐 물에 씻어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며 독이 있다.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어혈을 없애고 가래를 삭이며 엉기어 있는 것을 흩어지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항종양 작용이 밝혀졌다. 목이 붓고 아픈 데, 연주창, 옹종(癰腫), 창양(瘡瘍), 산후 어혈에 쓴다. 하루 3~6g을 탕약으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인다.

▷ 학명 : Tulipa edulis

▷ 분류 : 백합과

▷ 분포지역 : 제주·무등산·백양사 등 중부이남 지역

▷ 서식장소 : 양지바른 풀밭

▷ 특징 :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약 30cm이다.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 원형으로 길이 3∼4cm이며 비늘조각은 안쪽에 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위쪽에 잎 모양의 포가 3장 달린다. 잎은 2장이 밑동에서 나온다. 줄 모양이며 길이 20∼25cm, 나비 5∼10mm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몸은 흰빛을 띤 녹색이며 털이 없다.

꽃은 4∼5월에 줄기 끝에 1∼3송이가 달리는데, 넓은 종 모양이며 위를 향하여 벌어지고 길이 2.5cm이다. 포(苞)는 바소꼴이고 길이 3cm로서 2∼3개이다. 화피갈래조각은 6개이고 바소꼴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4cm로서 흰색 바탕에 자줏빛 맥이 있다. 수술은 6개로서 3개는 길고 3개는 짧다. 씨방은 녹색이고 세모난 타원 모양이며 1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는 삭과(殼果)로서 세모나고 둥글며 끝에 길이 6mm 정도의 암술대가 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