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1일 금요일

회벽유죄懷璧有罪 - 옥을 품고 있는 것이 죄, 분수에 맞지 않는 짓을 하면 재앙이 옴

회벽유죄懷璧有罪 - 옥을 품고 있는 것이 죄, 분수에 맞지 않는 짓을 하면 재앙이 옴

회벽유죄(懷璧有罪) - 옥을 품고 있는 것이 죄, 분수에 맞지 않는 짓을 하면 재앙이 옴

품을 회(⺖/16) 구슬 벽(玉/13) 있을 유(月/2) 허물 죄(罒/8)

사물을 분별하는 지혜가 分數(분수)다. 사람으로서 자기의 신분이나 능력을 잘 알고서 처신하면 탈이 없다. 분수에 맞게 행동하라고 선조들은 속담에서 잘 가르쳤다. ‘송충이가 갈잎을 먹으면 떨어진다’거나 ‘사주에 없는 관을 쓰면 이마가 벗겨진다’ 등이 그것이다. 같은 내용의 성어는 중국 고전에도 자주 나온다. 현재의 것으로 만족함을 안다면 욕되지 않는다는 知足不辱(지족불욕)은 道德經(도덕경)에서, 지나치게 높이 올라 간 용은 뉘우치게 된다는 亢龍有悔(항룡유회, 亢은 높을 항)는 易經(역경)에서 유래했다.

옥을 품고 있으면(懷璧) 그것만으로도 잘못(有罪)이라는 이 성어도 신분에 어울리지 않는 것을 가지면 재앙을 부르기 쉽다는 것을 뜻했다. 左丘明(좌구명)이 쓴 ‘春秋左氏傳(춘추좌씨전)’에 실려 있는 내용을 보자. 춘추시대 虞(우)나라 임금의 동생인 虞叔(우숙)에게는 아주 값진 옥이 하나 있었다. 흠집이 없고 아름다워 누구나 탐내던 중 형인 임금도 욕심이 나서 옥을 달라고 했다. 처음 거절했던 우숙이 얼마 후에 周(주)나라 속담을 생각하고 후회했다.

‘필부는 죄가 없어도 좋은 옥을 가지고 있으면 그것이 죄가 된다(匹夫無罪 懷璧其罪/ 필부무죄 회벽기죄).’ 공연히 이런 것을 가지고 있다가 재앙을 당할 필요가 없다며 사람을 시켜 왕에게 구슬을 바쳤다. 얼마 뒤 갖고 있는 보검을 형이 또 달라고 하자 우숙은 고민했다. 왕의 욕심이 끝이 없는 것을 보니 나중에는 나의 목숨까지 달라할지 모른다며 군사를 일으켜 형을 공격했다. 桓公(환공) 10년 조에 나오는 이야기다.

인간의 욕심이 혈연마저 등지는 재앙이 될 수도 있고, 지위나 재능으로 인해 다른 사람의 시샘을 받아 화를 입는다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하지만 역시 분수에 맞지 않으면 필부도 유죄가 되고 화를 자초하게 된다는 뜻이 와 닿는다.

百 bǎi

百 bǎi

百 bǎi

1. 백 2. 많은 수 3. 전혀 4. 성

봉생마중蓬生麻中 - 삼밭의 쑥은 바르게 자란다.

봉생마중蓬生麻中 - 삼밭의 쑥은 바르게 자란다.

봉생마중(蓬生麻中) - 삼밭의 쑥은 바르게 자란다.

쑥 봉(艹/11) 날 생(生/0) 삼 마(麻/0) 가운데 중(丨/3)

친구를 사귈 때나 이웃의 중요성을 말 할 때 환경을 강조한 말은 많다. 요즘의 이웃이야 아파트 생활이 많아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잘 모르게 되었지만 공자의 가르침부터 보자. 마을의 풍속이 질서를 지키며 화목하다는 것은 아름다운 것이며(里仁爲美/ 리인위미) 이러한 마을을 잘 골라서 거처하지 않는다면 지혜롭지 못하다고 했다. 중국 宋季雅(송계아)라는 사람이 집값의 열배나 주고 이웃을 산 百萬買宅 千萬買隣(백만매택 천만매린)과 똑 같다. 앞서 소개한 近墨者黑(근묵자흑)은 사귀는 친구에 의해 바른 길로도, 나쁜 길로도 갈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쳤다.

삼밭 가운데(麻中) 자라는 쑥(蓬生)이라는 이 성어는 따라붙는 대구 不扶自直(불부자직)과 같이 쓰면 뜻이 명확해진다. 죽죽 곧은 삼밭에 있으면 원래 구불구불 자라는 쑥이 붙들어주지 않아도 곧게 된다는 의미로 역시 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뜻한다.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 말기의 사상가로 性惡說(성악설)을 주창한 荀子(순자)의 저작 ‘순자’에 처음 실렸다.

첫 부분 勸學(권학) 편의 내용을 요약해보자. 남쪽 지방에 사는 蒙鳩(몽구)라는 새가 깃털로 둥지를 만들어 갈대 잎에 매달아 두었는데 바람에 가지가 부러져 알이 깨지고 말았다. 또 서쪽 지방에 자라는 射干(사간)이란 나무는 길이가 겨우 네 치밖에 되지 않지만 산꼭대기에 있다 보니 산 아래 백 길의 연못을 내려다본다. 몽구 새는 둥지가 튼튼해도 매어놓은 갈대가 흔들리기 때문에 알을 깨뜨렸고, 사간 나무는 줄기가 짧아도 서 있는 자리가 높기 때문에 멀리 볼 수 있다. 이런 예를 들고 말한다. ‘쑥이 삼밭에서 자라게 되면 떠받쳐주지 않아도 곧게 자라며, 흰 모래가 진흙 속에 있으면 모두 검게 된다(蓬生麻中 不扶而直 白沙在涅 與之俱黑/ 봉생마중 불부이직 백사재열 여지구흑)’. 涅은 개흙, 열반 열.

朱子(주자)의 小學(소학)과 기타 경전 중에서 알기 쉬운 내용들을 추린 아동용 四字小學(사자소학)에서는 朋友(붕우)편에 약간 다른 표현으로 나온다. ‘쑥이 삼 가운데서 자라나면 붙들어주지 않아도 저절로 곧아지고, 흰 모래가 진흙에 있으면 물들이지 않아도 저절로 더러워진다

방약무인傍若無人 -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다.

방약무인傍若無人 -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다.

방약무인(傍若無人) -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다.

곁 방(亻/10) 같을 약(艹/5) 없을 무(灬/8) 사람 인(人/0)

마치 옆에(傍若) 사람이 아무도 없다(無人)고 여기며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사람은 자신은 속이 후련할지 몰라도 주변서 모두 손가락질할 것이다. 돈을 좀 벌었거나 지위가 높아진 사람이 그러한 경우가 많다. 또한 술자리에서 빈 깡통이 요란하다고 자기주장만 펼치는 사람도 종종 볼 수 있다. 이 모두 傍若無人의 행동이다. 자기 눈 아래에 사람이 없는 듯이 날뛰는 眼下無人(안하무인)도 똑 같은 뜻이다. 지난번 국민들의 분통을 터뜨렸던 대한항공 부사장의 행위나 모녀가 백화점 주차장에서 아르바이트하는 주차요원들을 무릎 꿇린 일 등 사회 곳곳에 도사린 갑질의 사례가 여기에 꼭 들어맞는 성어다.

傍若無人은 이처럼 오만불손하여 미움을 사는 행동이지만 처음 이 말이 사용될 때는 부정적이지는 않았다. 성격이 활달하여 남의 이목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행동하는 것이 눈살 찌푸릴 정도는 아니었던 모양이다.중국이 세계에 자랑하는 司馬遷(사마천)의 ‘史記(사기)’에서 많이 읽히는 列傳(열전) 중에 다섯 명의 자객을 다룬 刺客列傳(자객열전)은 흥미진진하다. 마지막에 나오는 荊軻(형가, 荊은 가시 형, 軻는 수레 가) 이야기 속에 傍若無人의 성어가 나온다. 衛(위)나라 사람인 형가는 술과 글을 좋아하고 검술에 뛰어난 인물이었지만 못 알아본 왕에 등용되지 못하자 주유하며 현인과 협객을 두루 사귀었다.

燕(연)나라로 건너갔을 때 田光(전광)이란 처사가 그를 비범한 사람으로 알아보고 후원했다. 또한 그곳서 筑(축/ 대나무로 만든 비파 비슷한 악기)의 명수 高漸離(고점리)란 사람과 의기투합하여 날마다 장마당에 나가 술을 마시며 악기를 연주하고 노래하며 즐기면서 함께 울기도 하여 마치 옆에 사람이 없는 듯이 행동했다(高漸離擊筑 荊軻和而歌於市中 相樂也 已而相泣 旁若無人者). 旁과 傍은 똑같이 곁 방. 음주에 高聲放歌(고성방가) 했지만 큰 피해를 주지 않아 뜻을 펼치지 못한 인재의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상인들이 좋게 봐준 모양이다. 형가는 뒤에 秦始皇(진시황)을 암살하러 떠났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죽는다.

과유불급過猶不及 -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과유불급過猶不及 -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과유불급(過猶不及) -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지날 과(辶/9) 오히려 유(犬/9) 아닐 불(一/3) 미칠 급(又/2)

무슨 일이거나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 어른들이 집안 자녀들을 훈계하는 말씀 중에 꼭 들어 있다. 공자님 말씀이라며 두고두고 가르쳤다. 그런데 일을 처리하거나 수행할 때 목표를 초과 달성한 것이 모자란 것과 같다는 말인데 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일반 회사에서의 실적을 두고 보면 목표를 넘겼을 때 표창할 텐데 모자란 것과 같다니. 물론 이 말은 물질적 성과만 가지고 성패를 따지는 것은 아니다. 지나친 것도 모자라는 것도 경계한 중용의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

공자의 제자 중에 고생도 함께 하고 각 분야에 뛰어난 10명을 공문십철( 孔門十哲)이라 한다. 이들을 덕행, 언어, 정사, 문학의 사과로 나누어 평가를 한 내용이 ‘선진편(先進篇)’에 나온다. 바로 ‘德行 顔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 言語 宰我 子貢, 政事 冉有 季路, 文學 子游 子夏(덕행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 언어 재아 자공, 정사 염유 계로, 문학 자유 자하)이다. 騫은 이지러질 건, 冉은 늘어질 염.

",

과유불급에 거론되는 자하와 십철에는 빠져있는 자장을 비교해 자공이 묻는 것에 대해 공자가 답한다.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미치지 못한다/ 師也過 商也不及(사야과 상야불급)’고 말하면서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 고 설명한다. 師는 자장, 商은 자하의 이름이다. 공자는 자장의 극단적인 경향과 자하의 소극적인 면을 의식하고 그들에게 중용의 깨우침을 주기 위해 평가한 것이다.

작정산밀斫正刪密 – 똑바로 베고 빽빽하면 솎아내다.

작정산밀斫正刪密 – 똑바로 베고 빽빽하면 솎아내다.

작정산밀(斫正刪密) – 똑바로 베고 빽빽하면 솎아내다.

쪼갤 작(斤/5) 바를 정(止/1) 깎을 산(刂/5) 빽빽할 밀(宀/8)

쪼개다, 베다, 자르다는 뜻의 작(斫)은 장작(長斫)이라는 쓰임 외에 ‘아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는 성어 지부작족의 그 글자다. 깎다, 삭제하다는 뜻인 산(刪)은 필요 없는 글자를 지우는 산삭(刪削), 편지에서 인사는 생략한다는 뜻의 산만(刪蔓)에 쓰는 글자다. 깎고 자른다고 하면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프로크루스테스(Procrustes)를 먼저 연상할 수 있다. 나그네를 집에 초대해 침대 길이에 맞춰 사람을 늘이거나 늘려 죽였다는 강도다. 하지만 바르게 베고 빽빽한 것을 덜어내는 것은 매화의 가지치기를 말했다.

"

청나라의 학자 겸 시인 공자진의 유명한 산문 병매관기’의 구절에서 유래했다. 공자진은 외조부인 고증학자 단옥재(段玉裁)로 부터 배워 당시 정치의 혼란상에 대해 울분을 토하는 시문을 많이 남겼다. 불의에 모든 사람이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을 만 마리의 말이 일제히 벙어리가 된다고 만마제음 이라 표현하기도 했다. 공자진은 이 산문에서 문인화가들이 건강한 것 보다는 기울어지고 구부러진 병든 모습의 매화를 더 귀하게 여기는 세태를 비판하고 있다.

",

공자진은 그래서 매화가 모두 병이 들었다면서 압제에서 해방시킨다고 병매관을 지어 돌봤다. 그는 매화만을 위해서였을까. 그랬다면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 더 잘 자라게 한다는 분재 애호가들에게 반발을 살 일이다. 그는 일정한 틀 속에서 인재를 구속하는 과거제를 비판하고 나아가 전제주의를 반대하며 인격의 해방을 갈망했다고 평가 받는다. 제도를 바꾼다면서 함부로 없애고 붙이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

일일삼추一日三秋 - 하루가 삼 년 같다,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

일일삼추一日三秋 - 하루가 삼 년 같다,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

일일삼추(一日三秋) - 하루가 삼 년 같다,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

한 일(一/0) 날 일(日/0) 석 삼(一/2) 가을 추(禾/4)

시간은 대체로 귀하고 그래서 빨리 지나간다는 옛말이 많다. 시간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고 화살처럼 날아가 일생도 문틈으로 지나가는 흰 망아지와 같다는 白駒過隙(백구과극)이란 말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아무리 기다려도 소용없는 百年河淸(백년하청)은 제외하고, 무엇을 기대하거나 보고 싶은 연인을 기다릴 때는 반대로 시간이 흐르지 않는다. 사람을 기다리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라는 百難之中 待人難(백난지중 대인난)이란 말이 있으니 말이다. 하루를 보내는 것(一日)이 세 해의 가을(三秋)을 지내는 것과 같다는 표현이 이 어려움을 실감나게 드러냈다. 一日如三秋(일일여삼추)나 더 짧은 15분 정도의 一刻如三秋(일각여삼추)라고도 한다.

春秋時代(춘추시대)의 민요를 모은 ‘詩經(시경)’에 이 말이 처음 등장한다. 나라 일로 멀리 타국에 간 남편을 기다리는 아낙의 마음을 노래한 ‘王風(왕풍)’ 采葛(채갈)편에서다. 풍채 采(채)는 캔다는 採(채)의 뜻도 있다. 임을 기다리는 것은 하루가 마치 三秋(삼추)와 같이 세월이 더디 간다며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한다. 삼추는 孟秋(맹추, 음력 7월), 仲秋(중추, 8월) 季秋(계추, 9월)의 석 달을 말한다고 하고, 가을이 세 번이므로 9개월을 가리킨다고도 한다. 곡식은 1년에 가을에 한 번 익으므로 삼추는 3년이라고 해석한다. 어쨌든 기다리는 세월은 길게만 느껴지는 것에는 차이가 없다.

전문은 짤막하다. ‘칡 캐러가세, 하루를 못 보면 석 달이나 된 듯(彼采葛兮 一日不見 如三月兮/ 피채갈혜 일일불견 여삼월혜), 쑥 캐러가세, 하루를 못 보면 아홉 달이나 된 듯(彼采蕭兮 一日不見 如三秋兮/ 피채소혜 일일불견 여삼추혜), 약쑥 캐러가세, 하루를 못 보면 삼년이나 된 듯(彼采艾兮 一日不見 如三歲兮/ 피채애혜 일일불견 여삼세혜).’ 兮는 어조사 혜, 蕭는 맑은대쑥 소, 艾는 약쑥 애.

처음 남녀 간에 헤어져 있을 때 썼던 표현이 오늘날에는 사람이나 사물이 도착하기를 애타게 기다리는 심정을 나타내는 말로 확대됐다. 사람을 기다릴 때 시간은 상대적이다. 약속한 사람이 오지 않을 때 기다리는 시간은 더디 가고, 약속했던 상대는 시간을 지키려고 해도 다른 일로 해서 빨리 지나가게 마련이다. 애태우는 사람을 위해 계획을 잘 세워 시간을 지키도록 하는 것이 최선이다.

호접지몽胡蝶之夢 - 나비에 관한 꿈, 物我一體물아일체의 경지, 인생의 덧없음

호접지몽胡蝶之夢 - 나비에 관한 꿈, 物我一體물아일체의 경지, 인생의 덧없음

호접지몽(胡蝶之夢) - 나비에 관한 꿈, 物我一體(물아일체)의 경지, 인생의 덧없음

되 호(肉/5) 나비 접(虫/9) 갈 지(丿/3) 꿈 몽(夕/11)

두 쌍의 커다란 날개를 휘저으며 바쁘게 꽃 사이로 드나드는 조그만 곤충, 나비는 예로부터 많이 민요로 불렸고 시인묵객들이 다투어 묘사했다. ‘예쁜 것도 찾고 향기로운 것도 찾으며, 한가한 것 같기도 하고 바쁜 것도 같네(심염부심향 사한환사망(尋艶復尋香 似閒還似忙))’라고 노래한 당의 시인 정곡도 그 중 하나다. 이런 작품 외에 잘 알려진 것이 나비효과다. 기상관측 때 처음 이야기됐다고 하는데 브라질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미국 텍사스에 토네이도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는 과학이론이다. 작은 변화가 결과적으로 엄청남 변화를 몰고 왔을 때 자주 인용된다.

성어 중에서는 나비의 꿈인 장자 이야기가 유명하다. 장자는 이름이 주로 사기(史記) 노자한비(老子韓非) 열전에 소개되어 있다. 맹자와 비슷한 시대의 사람으로 벼슬길에 들지 않고 은거하면서 저술에 전념했다. 학문은 노자를 근원으로 물아가 동등하여, 자연 그대로 살아가는 무위자연을 주창했고 재미있는 우화를 많이 등장시켰다. 호랑나비인 호접으로도 쓸 수 있는 이 말은 ‘장자’ 제물론(齊物論)에 나온다. 부분을 인용해 보자.

‘장주가 나비된 꿈을 꾼 것인지, 아니면 나비가 장주가 된 꿈을 꾼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분명히 구분이 있을 것이니, 이를 일러 만물의 변화라고 하는 것이다.’ 장자가 꿈에 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깬 뒤,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데서 피아(彼我)의 구별이 안 되는 것, 또는 물아일체의 경지를 비유하는 말로 사용됐다. 나아가 오늘날에는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인다.

한 가지 작은 계기가 큰 사건으로 확대되는 것은 검은 유착에서도 볼 수 있었다. 나비효과나 장자의 나비와는 관련이 없어도 작은 사건에서 번지는 것이나, 작은 욕심에서 비롯돼 평생 공적이 와르르 무너지는 것을 보면 덧없기도 하다.

일각천금一刻千金 – 짧은 시간이라도 천금과 같이 귀중하다.

일각천금一刻千金 – 짧은 시간이라도 천금과 같이 귀중하다.

일각천금(一刻千金) – 짧은 시간이라도 천금과 같이 귀중하다.

한 일(一/0) 새길 각(刂/6) 일천 천(十/1) 쇠 금(金/0)

시간이 귀하다고 서양 격언은 바로 돈이라고 했지만 더 짧은 시간(一刻)인데도 천금과 같다(千金)고 강조한 것이 이 사자성어다. 1각은 15분 동안을 가리키는 단위고, 천금의 숫자는 물론 많거나 귀중한 것을 나타낸다. 이렇게 값나가는 시간이 흐르는 물과 같이 빨리 지난다고 光陰似逝水(광음사서수)라고 표현한다. 더 빠르게는 문틈으로 보이는 망아지가 스치듯이 세월이 지난다는 白駒過隙(백구과극)이 있다.

시간이 귀중하니 아껴야 한다는 이름난 구절은 많다. 일각이 천금이라고 표현한 이 말은 宋(송)나라의 명문장가 蘇軾(소식, 1036~1101)의 시 ‘春夜(춘야)’에서 비롯됐다. 호가 東坡(동파)인 소식은 시서화에 모두 뛰어났고, 아버지 蘇洵(소순), 동생 蘇轍(소철)과 더불어 三蘇(삼소)라 불리며 모두 唐宋八大家(당송팔대가)에 들어간다. 칠언절구 전문을 보자. ‘봄날 밤의 한 시각은 천금에 값하나니, 꽃에는 맑은 향 달 뜨니 구름에 진다(春宵一刻値千金 花有淸香月有陰/ 춘소일각치천금 화유청향월유음). 노래하고 피리 불던 누대도 소리는 잦아들고, 그네 뛰던 안뜰은 밤만 깊어 가누나(歌管樓臺聲寂寂 鞦韆園落夜沈沈/ 가관누대성적적 추천원락야침침).’

宵는 밤 소, 鞦韆(추천)은 그네. 시간이 값나간다고 해도 유유자적 느긋하게 느껴지는 것은 봄밤의 한 시각이 그만큼 아름답고 값지니 가치를 알고 즐기자는 뜻이 있다.

젊은 시절에 더욱 노력하여 시간을 아껴야 한다는 교훈은 따로 있다. 朱子(주자)의 권학시 ‘偶成(우성)’이다. ‘소년은 금방 늙고 학문은 이루기 어려우니, 짧은 시간이라도 가벼이 여기지 말라(少年易老學難成 一寸光陰不可輕/ 소년이로학난성 일촌광음불가경).’ 전원시인 陶淵明(도연명)은 ‘雜詩(잡시)’에서 더 절박하게 강조한다. ‘젊은 시절은 다시 오지 아니하고, 하루의 새벽은 두 번 다시 오기 어렵다(盛年不重來 一日難再晨/ 성년부중래 일일난재신). 때가 이르면 마땅히 힘쓸 일,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으리(及時當勉勵 歲月不待人/ 급시당면려 세월부대인).’

이처럼 귀한 시간을 흥청망청 보내지는 않았을까. 시간의 낭비에 의해 그렇지 않아도 짧은 인생이 더 짧아진다는 교훈도 있듯이 어떻게 보내야 알차고 보람될지 곰곰 생각할 일이다.

무슨꽃입니까?

무슨꽃입니까?

무슨꽃입니까?